[한국정경신문=변동휘 기자] 명예전역을 선택하는 군 간부들이 크게 늘어나 역대 최대치에 이른 것으로 나타났다. 업무당도 대비 낮은 급여가 주 원인으로 풀이된다.

명예전역을 택하는 군 간부들이 크게 늘었다. (사진=연합뉴스)

31일 국방부가 국회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명예전역을 지원한 간부는 장교 782명, 부사관 1720명 등 총 2502명이었다. 이는 국방부가 추산한 예상 인원 1363명보다 약 2배 많은 수치다.

이들 중 명예전역자로 최종 선발된 인원은 장교 720명, 부사관 1216명 등 총 1936명이었다. 566명은 명예전역 심사에서 탈락했다.

명예전역은 20년 이상 근속한 군인 중 정년 전에 자원해서 전역하는 제도다. 정년까지 남은 기간에 따라 일정 규모의 수당을 추가로 받을 수 있다.

명예전역 지원자 규모는 빠르게 증가하는 추세다. 2020년 1176명에서 2022년 1743명으로 증가했으며 2023년에는 2364명으로 2000명을 넘겼다. 특히 부사관 명예전역 지원자는 2020년 609명에서 지난해 1720명으로 약 3배 급증했다.

올해 8월까지 접수된 명예전역 지원자는 장교 738명, 부사관 1563명 등 2301명 규모다.

군 간부들의 높은 업무강도 대비 열악한 처우가 명예전역 지원자 급증의 원인으로 꼽힌다. 한국국방연구원은 지난해 임관 5년차 이상 간부 중 희망 전역 예정자 417명을 대상으로 전역 결심 이유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그 결과 ‘업무강도 대비 낮은 금전적 보상’이 22.5%로 가장 높았다. 이어 ▲부대관리·행정업무 위주로 복무의 보람 상실(20.1%) ▲병 봉급 상승 등으로 인한 상대적 박탈감(10.6%) ▲근무지 이동으로 인한 가족과의 별거(9.6%) 등이 꼽혔다.

이에 대해 국방부는 중견간부 조기이탈에 대한 정확한 원인 분석을 위한 연구를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그 결과를 바탕으로 대책을 수립하고 추진하겠다는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