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 2030년 시가총액 200조 목표..장인화 회장 “초일류 도약” 강조
이정화 기자
승인
2024.07.02 11:02
의견
0
[한국정경신문=이정화 기자] 포스코그룹이 오는 2030년 그룹 합산 시가총액 200조원의 소재 분야 초일류 기업으로 도약한다는 목표를 내세웠다.
포스코그룹은 장인화 회장이 지난 1일 포항 본사 체인지업그라운드에서 미래 경영비전을 공유하는 'CEO(최고경영자) 타운홀미팅'을 열었다고 2일 밝혔다.
장 회장은 '2030 소재 분야 글로벌 최고 기업가치 달성'을 그룹의 미래 비전으로 제시했다.
기존 철강, 이차전지 소재와 함께 그룹의 새로운 성장축이 될 수 있는 미래 먹거리로 신소재 분야를 지목했다. 2030년에는 이 분야에서 5조원 이상의 매출을 올릴 수 있도록 육성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인수합병(M&A) 기반의 신사업 추진 프로세스도 구축했다.
친환경에너지와 신(新)모빌리티 등 그룹 사업에 연계할 뿐 아니라 항공·우주 등 미래 산업에 적용될 첨단소재까지 다양한 분야에 걸친 신소재 사업을 빠르게 선점한다는 구상이다.
또 적자가 지속되거나 투자 목적을 상실한 사업들에 대한 구조개편 계획을 확정했다. 이를 향후 3년간 지속적으로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철강 분야에서는 제조원가 개선과 판매·구매 경쟁력 제고로 2300억원의 원가절감 및 수익 창출 효과를 거뒀다고 소개했다.
탈탄소 전략과 관련해서는 그룹의 고유한 수소환원제철 공법인 하이렉스(HyREX) 기술개발을 산업통상자원부가 기획하는 수소환원제철 실증 사업과 연계해 추진하는 로드맵을 마련했다.
철강 투자에서도 인도와 북미 등 성장시장 선점을 목표로 우선순위를 확정했다.
이차전지 소재에서는 그룹 전체 밸류체인의 질적 개선안을 내놨다.
기존 공정의 생산성을 높이는 것은 물론 원료 수급·판매처를 다변화하고 대내외 경영 여건 변화에 따른 투자 우선순위를 재검토하는 것이 골자다.
칠레와 아르헨티나 등 남미 염호와 북미·호주의 광산·자원회사 협업 등과 관련한 투자를 확정했다. 차세대 기술개발을 위한 파트너사와의 협력도 시작했다.
또 이차전지 소재의 글로벌 원료 공급망을 다변화하는 동시에 시장 권역별 차별화 전략을 취한다. 선진국에는 3원계(NCM·NCMA·NCA) 중심으로, 신흥 시장에는 리튬인산철(LFP) 위주로 공급망을 확대하는 방식이다.
포스코그룹은 "필연적으로 다가올 전기차 시대에 대비해 글로벌 성장시장 중심으로 철강과 이차전지 소재 사업에 함께 진입해 시너지 효과를 노릴 것"이라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지식과 문화가 있는 뉴스> ⓒ한국정경신문 | 상업적 용도로 무단 전제, 재배포를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