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경신문=이정화 기자] 이훈기 롯데케미칼 대표이사 사장이 취임 100일차를 갓 넘기고 경영능력 시험대에 올랐다. 글로벌 경기침체에 따른 수요 부진 직격탄을 맞아 올 1분기도 석유화학 3사(LG화학·금호석유화학) 중 나홀로 적자가 유력하다.
22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롯데케미칼은 지난해 영업손실은 3332억원을 기록해 적자를 이어갔다.
앞서 2022년 2분기부터 업황 악화로 5개 분기 연속 적자를 보다 3분기 261억원의 영업익으로 잠시 흑자 전환했다. 4분기 들어서는 3013억원의 손실로 적자로 다시 돌아섰다.
증권가에선 롯데케미칼이 1분기도 753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해 전년 동기(-262억원)보다 폭이 커질 것으로 추정한다.
윤용식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중국 춘절 이전 재고 재비축 수요도 크지 않고 물류비가 오른 데다 현재 대부분 제품의 수익성이 작년 4분기보다도 낮다”고 분석했다.
■ 고부가·친환경·배터리·수소 신성장동력 혁신 주문
이처럼 수요 감소와 중국발 공급과잉으로 당분간 실적 회복은 기대하기 어렵다는 시각이 많다. 이훈기 사장의 타개책에 관심이 쏠리는 이유다.
이 사장은 취임 당시 ‘혁신’을 핵심 키워드로 제시했다. 그러면서 “올해는 지금까지와 다른 혁신과 실행을 원동력으로 지속가능성 제고와 성장을 위한 변화와 도약을 이끌어내자”고 당부했다.
롯데케미칼도 이 사장의 주문대로 수익성 확보를 위해 ▲고부가·친환경소재 ▲배터리소재 ▲수소사업 분야 사업 혁신에 박차를 가할 전망이다.
김민우 롯데케미칼 전략기획본부장 상무도 최근 실적발표 콘퍼런스콜에서 “핵심 신사업인 전기소재 확대를 위해 음극박과 양극박 사업의 거점 확보를 꾸준히 추진 중”이라며 “수소 에너지사업도 생산 거점 전략과 수요 측면의 시장개발도 시의적절하게 대응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고부가가치 사업에서는 스페셜티와 그린소재 비중을 높이기로 했다. 우선 스페셜티 소재 매출 비중을 60%까지 늘린다. 지난 2022년 기준 55%인 범용 석유화학 매출 비중도 오는 2030년 40%로 낮춰 친환경 전환에 힘쓴다.
수소사업에서도 생산·운송 및 저장·활용 등 가치사슬(밸류체인) 전반을 아울러 2030년 매출 3조원을 달성한다는 목표다.
■ 신사업 성과 실적 반영까지 오래 걸릴 듯..법인 청산 속도
일부에선 롯데케미칼이 지목한 신성장사업들이 유의미한 성과를 내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걸릴 수 있다고 우려한다.
롯데케미칼도 이를 의식한 듯 수익성이 떨어지는 기존 생산설비 매각을 추진하는 등 포트폴리오 재편에 서두르고 있다.
앞서 지난해에는 중국 내 기초 석유화학 생산 공장인 롯데케미칼자싱과 롯데케미칼삼강 지분을 현지 협력사에 팔았다.
이어 엔지니어링 플라스틱(EP)을 생산하는 중국 허페이법인과 폴란드 판매법인(롯데케미칼폴란드), 페트(PET)와 나일론을 생산하는 계열사 케이피켐텍도 청산했다.
조만간 말레이시아에 있는 대규모 생산기지인 자회사 롯데케미칼타이탄(LC)까지 청산할 가능성도 고개를 든다.
이 회사는 롯데케미칼이 지난 2010년 말레이시아 차오그룹 등으로부터 약 1조5000억원에 사들인 곳이다. 최근 중국의 수요가 자급화로 고꾸라지고 저가 제품 확대로 공급 과잉이 발생해 악화일로다.
현재 롯데케미칼이 국내외 석유화학 기업과 대형 사모펀드(PEF)를 대상으로 인수 후보를 물색 중이라는 설도 나온다.
이를 두고 이 사장은 “(LC타이탄 매각설에 대해) 전혀 결정된 바 없다”며 “여러가지 옵션을 검토하는 상황”이라고 선을 그었다.
롯데케미칼 관계자는 “LC타이탄 매각은 아직 확정된 바 없고 다양한 전략 방안을 검토 중”이라며 “가동률 조절을 통해 생산량 관리에 나서고 있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지식과 문화가 있는 뉴스> ⓒ한국정경신문 | 상업적 용도로 무단 전제, 재배포를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