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나항공 매각 본입찰이 7일 마감됨에 따라 애경그룹과 현대산업개발 등 누가 아시아나를 품을지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자료=아시아나항공)
[한국정경신문=장원주 기자] 제2 국적항공사인 아시아나항공의 새 주인을 찾기 위한 본입찰이 7일 마감됐다.
당초 예상대로 애경그룹, HDC현대산업개발, KCGI 등 3곳을 주축으로 하는 컨소시엄이 참여한 가운데 SK, GS 등 유력 대기업의 '깜짝 참여'는 없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무엇보다 입찰자들이 써낸 매입 가격에 관심이 쏠리지만 이는 공개되지 않았다.
7일 항공업계와 금융권에 따르면 아시아나항공의 최대주주 금호산업과 매각주간사 크레디트스위스증권은 이날 오후 2시까지 본입찰 신청을 받았고, 애경-스톤브릿지 컨소시엄, 현산-미래에셋 컨소시엄, KCGI-뱅커스트릿PE 컨소시엄이 본입찰에 참여했다. 금호 측은 이후 우선인수협상 대상자를 선정하고 주식매매계약을 체결 등 절차를 밟아 연내 매각을 완료할 예정이다.
이번 매각은 금호산업이 보유한 아시아나항공 주식 6868만8063주(지분율 31.0%·구주)와 아시아나항공이 발행하는 보통주식(신주)을 인수하는 방식으로 이뤄진다.
아시아나 자회사인 에어서울과 에어부산, 아시아나IDT 등 6개 회사도 함께 '통매각'한다. 이를 통해 아시아나와 자회사 경영권을 넘긴다.
애경그룹은 본입찰 마감 직후 보도자료를 내고 "주간사의 지침에 맞게 준비를 마치고 입찰을 완료했다"고 아시아나 인수 참여를 공식 확인했다.
애경은 "항공사 간 인수합병(M&A)을 통해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해외 사례가 많다"면서 국내 3위 항공사인 제주항공을 운영 중인 애경그룹의 인수 필요성을 다시 한 번 강조했다.
당초 애경은 자금력이 부족하다는 것이 약점으로 거론됐지만 운용자산이 1조원을 넘는 스톤브릿지캐피탈과 손잡으면서 이런 시각이 불식됐다. 인수전 막판에는 한국투자증권을 컨소시엄에 참여시키며 자금력을 강화했다.
애경과 함께 유력한 후보로 거론된 현산과 미래에셋대우 컨소시엄도 도전장을 내밀었다. 현산은 건설업을 주력 업종으로 삼는 만큼 항공업과의 시너지는 높은 평가를 받지 못한다. 하지만 애경과 비교해 막강한 자금력이 강점으로 꼽힌다.
6월 말 기준 HDC현대산업개발의 현금·현금성 자산은 1조1772억원이다. 단기금융상품 4542억원을 더하면 약 1조6000억원 이상의 현금을 동원할 수 있다. 미래에셋대우 역시 자기자본이 8조원 이상으로 증권업계에서 압도적인 1위다.
홍콩계 사모펀드 뱅커스트릿과 컨소시엄을 구성한 KCGI도 막판까지 SI를 구하기 위해 유력 대기업과 접촉하는 등 사력을 다한 것으로 전해졌다.
KCGI는 이날 본입찰에 참여하면서 SI를 포함한 것으로 알려졌지만 구체적으로 어떤 회사인지는 밝히지 않았다.
시장에서는 아시아나 인수 가격을 대략 1조5천억∼2조원 안팎으로 추산하고 있다.
아시아나항공은 대한항공에 이은 국내 2위 대형항공사이며 국제선 노선 70여개를 보유한 글로벌 항공사다. 취득이 어려운 항공운송사업 면허를 보유하고 있어 항공업 진입을 노리는 기업에는 매력적인 매물이 될 수 있다.
다만 7조원이 넘는 부채를 떠안아야 하고 항공기 노후화 등에 따라 추가로 적지 않은 투자가 이뤄져야 한다는 점 등이 부담 요인으로 꼽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