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경신문=변동휘 기자] 육군이 베레모를 단계적으로 폐지하고 전투모를 기본 군모로 다시 지정할 방침이다. 장병들의 현실적 어려움을 고려한 조치라는 설명이다.

26일 국회 국방위원회 소속 박선원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육군본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육군은 지난달부터 베레모와 전투모 혼용 확대를 시범적용 중이다. 2027년에는 전투모를 기본 군모로 지정해 보급을 늘리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박선원 더불어민주당 의원 (사진=연합뉴스)

베레모가 전통과 상징성은 있지만 점점 폭염이 심해지는 여름철에는 착용·관리가 어렵다. 전투 시에는 방탄 헬멧을 착용해 전투력 향상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점도 이유로 꼽혔다.

올해 1월 육군이 1사단 등 8개 부대 173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 결과 베레모보다 전투모를 선호하는 장병이 93%였다. 전투모로 군모를 단일화하는 데 찬성한 비율도 65%나 됐다.

베레모와 전투모를 함께 착용함에 따라 예산도 중복 투입되는 문제도 있다. 베레모는 개당 6830원, 전투모는 6300원이다. 지난해 베레모 조달금액은 11억원이었다. 또한 현재 베레모 제작 업체는 단 한 곳으로 조달 지연이 빈번하고 품질 개선도 제한적인 것으로 파악됐다.

이에 육군은 2020년 3월 전투모를 특수군모로 도입했고 같은 해 8월에는 흐리고 비 오는 날이면 영내에서 전투모를 쓸 수 있도록 했다. 2021년 2월에는 휴가와 외출·외박 등을 제외하고 영내·외에서 전투모를 착용할 수 있게 했다.

그러나 지침 개선 후에도 베레모 관련 민원이 이어지자 단계적 폐지를 골자로 하는 기본군복 개정을 추진하기로 했다. 올해 9월부터 1단계로 휴가와 외출·외박 때도 베레모와 전투모를 혼용할 수 있도록 시범 적용 중이다. 11월까지 시범 적용 결과를 바탕으로 국방부에 군인복제령 개정을 건의할 계획이다.

이후 2단계로 2027년 기본군복 개정 후 전투모 보급을 1개에서 2개로 늘리는 것을 추진한다.

박 의원은 “불편한 군모 착용을 강요하기보다 장병들이 편하게 쓸 수 있는 군모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한 군의 역할”이라며 “현실적인 어려움을 반영해 베레모를 폐지하고 육군의 상징성을 살린 새 군모를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