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경신문=윤성균 기자] 지난해 은행들이 주가연계증권(ELS) 판매 중단으로 인한 수수료 감익을 적극적인 방카슈랑스 판매로 메웠다.

지난해 4대 은행(KB국민, 신한, 하나, 우리은행)의 신탁 수수료 이익은 총 7310억원으로 집계됐다. (자료=연합뉴스)

12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지난해 4대 은행(KB국민, 신한, 하나, 우리은행)의 신탁 수수료 이익은 총 7310억원이었다. 이는 2023년 7860억원 대비 6.9% 감소한 수치다. 신탁 수수료의 상당 부분은 ELS 판매에서 발생하는데 지난해 상반기 ELS 손실 사태 이후 대부분의 은행이 ELS 판매를 중단하면서 신탁 수수료 역시 자연스럽게 줄어든 것으로 분석된다.

KB국민은행의 신탁 수수료 이익은 2410억원에서 1830억원으로 24.1% 감소하며 가장 큰 폭으로 줄었다. 신한은행은 1820억원에서 1750억원으로 3.6%, 하나은행은 2110억원에서 2040억원으로 3.3% 각각 감소했다.

반면 우리은행은 1520억원에서 1690억원으로 11.2% 증가하며 유일하게 상승세를 보였다. 우리은행이 대규모 손실 사태 이후에도 ELS 판매를 지속해왔기 때문이다.

ELS 공백을 메우기 위해 은행들은 방카슈랑스 판매에 집중했다. 4대 은행의 지난해 방카슈랑스 수수료 이익은 총 3670억원으로 전년 대비 35.0% 급증했다. KB국민은행은 1020억원에서 1440억원으로 41.2%, 신한은행은 350억원에서 670억원으로 91.7%, 하나은행은 610억원에서 670억원으로 10.2% 각각 증가했다. 우리은행도 740억원에서 890억원으로 20.3% 늘어나는 등 전반적으로 방카슈랑스 수수료 이익이 크게 상승했다.

결과적으로 4대 은행의 지난해 전체 수수료 이익은 총 4조870억원으로 전년 대비 6.7% 증가했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ELS 이슈로 정기 예·적금이나 방카슈랑스 등 대체 상품으로 고객 선호도가 이동했다”며 “은행의 적극적인 영업도 있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