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리익스프레스에 이어 테무가 한국시장 직진출을 준비하는 움직임이 감지되고 있다.(자료=연합뉴스)
[한국정경신문=서재필 기자] 알리익스프레스에 이어 테무가 한국시장 직진출을 준비하는 움직임이 감지되고 있다. 주요 직군 한국인 채용을 진행하는 등 알리익스프레스가 밟아온 절차를 답습하는 모습이다.
10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중국 전자상거래 업체 핀둬둬홀딩스 자회사인 테무는 지난해 말부터 인사, 총무, 홍보·마케팅, 물류 등 핵심 직군의 한국인 직원 채용 절차를 진행 중인 것으로 확인된다. 인사 등 일부 직군은 이미 채용이 이뤄진 것으로 알려졌다.
테무는 또 한국 내 통합 물류시스템 구축을 준비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현재 테무는 복수의 통관업체와 협업해 한국 내 라스트마일 물류를 진행했다. 빠르고 일관적인 배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국내 물류시스템을 갖추는 것을 검토하는 것으로 보인다. 현재 테무 상품은 CJ대한통운과 한진이 주로 배송하고 있다.
이의 일환으로 가격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본사 차원에서 공개입찰을 통해 한국 주요 물류업체와 계약하는 방안을 추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 이커머스 시장의 핵심이 된 물류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업계는 테무의 이러한 움직임을 한국 사업의 현지화 또는 시장 직진출을 위한 사전 작업으로 해석한다. 특히 알리익스프레스의 한국 시장 공략 방식과 흡사한 점을 눈여겨본다.
알리익스프레스는 지난 2019년 처음 한국어 판매사이트를 열어 영업을 시작한 이후 지난 2023년 8월 한국법인인 알리익스프레스코리아 설립과 사무소 개설하고 당해 하반기 한국 직원 채용 등의 현지화 절차를 밟았다.
테무도 지난 2023년 7월 한국어 판매사이트를 개설해 영업을 개시했고 지난해 2월 한국 법인 웨일코코리아 유한책임회사를 설립했다. 웨일코는 테무가 미국에서 설립·운영하는 법인명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해외 이커머스 시장에서 단순 판매 단계를 넘어 직진출을 꾀하려면 반드시 선행돼야 할 작업이 현지 인력 채용과 물류 현지화"라며 "테무의 움직임을 보면 알리익스프레스의 전철을 그대로 따른다는 느낌"이라고 말했다.
테무가 이처럼 한국 시장에서 보폭을 넓히려는 움직임을 보이는 것은 1년 이상의 판매 사이트 운영을 통해 시장 점유율 확보에 승산이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알리익스프레스의 직진출 선례에 따라 한국 시장의 규제 이슈와 정부 정책 방향, 가성비를 선호하는 한국 소비자 특성 등이 파악돼 시행착오를 줄일 수 있다는 것도 테무에 긍정적인 요인이다.
리테일 분석 서비스 와이즈앱·리테일에 따르면 지난달 기준 테무 애플리케이션 월간 활성 이용자 수(MAU)는 823만명으로 쿠팡(3302만명), 알리익스프레스(912만명)에 이어 세 번째로 많다. 한국 시장에 처음 발을 들인 2023년 8월(52만명)과 비교하면 이용자 수가 17.5배로 폭증했다.
사업 기반이 있는 미국에서의 영업 여건이 크게 악화할 것을 예상해 연간 거래액 242조원대의 세계 5위권 이커머스 시장인 한국을 대체국으로 점찍었을 가능성도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테무가 한국 시장 현지화에 박차를 가할 경우 국내 이커머스 시장 경쟁 구도와 판도에도 작지 않은 변화가 예상된다. 이미 한국 이커머스 시장의 주요 플랫폼으로 자리 잡은 알리익스프레스에 이어 테무까지 들어오면 시장 경쟁이 한층 격화할 것으로 전망된다.
테무는 세계 최대 이커머스 시장인 미국에서 온라인 쇼핑몰 앱 다운로드 수 1위를 차지하며 현지 유통업계를 뒤흔든 경험이 있다.
한 이커머스 업체 관계자는 "G마켓과 알리익스프레스의 합작법인 설립, 네이버의 별도 쇼핑앱 출시, 쿠팡의 대규모 물류 투자 등에 테무의 직진출까지 더해지면 한국 이커머스 시장의 생존 경쟁은 더 격렬하게 전개될 것"이라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