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아한형제들이 전국가맹점주협의회 측의 “배민의 수수료 인상 결정으로 업주들의 부담 수수료가 44% 증가했다”는 주장이 사실이 아니라고 반박에 나섰다.(자료=연합뉴스)

[한국정경신문=서재필 기자] 배달의민족(이하 배민) 운영사 우아한형제들이 전국가맹점주협의회 측의 “배민의 수수료 인상 결정으로 업주들의 부담 수수료가 44% 증가했다”는 주장이 사실이 아니라고 반박에 나섰다.

14일 우아한형제들은 “배민1플러스 요금제 개편 관련 ‘입점 업주 부담 수수료가 44% 인상됐다’는 일각의 주장은 과장된 것”이라고 입장을 밝혔다. 44% 중개이용료율이 6.8%에서 9.8%로 3%p 변경되는 것만을 반영해 인상분을 과장돼 보이게 하는 주장이라는 의견이다.

앞서 11일 전국가맹점주협의회는 “그동안 배달앱 입점업체들은 배달앱의 높은 중개수수료로 인해 경영상 어려움을 겪어 왔다”며 “우리나라 배달앱 시장을 과점하고 있는 ‘배민이 배민1플러스 중개수수료를 기존 6.8%에서 9.8%로 무려 44% 인상한 개편안을 발표했고 이는 자영업자들의 절박한 호소를 매몰차게 외면한 비정한 행위”라고 주장했다.

우아한형제들은 “이번 개편에 따른 업주 부담 변화를 정확히 보려면 업주 부담 배달비를 지역에 따라 100~900원 인하한 것을 함께 고려해야 한다”며 “이를 기준으로 1만원~2만 5000원 주문 기준 업주 부담액을 계산했을 때 총 비용(중개이용료+업주부담배달비+결제정산이용료+부가세 기준) 인상율은 약 0~7.9%에 불과하다”고 설명했다.

더불어 “배민1플러스 중개이용료율 인상은 경쟁사의 경우 수년 전부터 이미 적용하며 시장에서 수용된 요금 수준”이라며 “이번 배민1플러스 중개이용료 변경은 그간 경쟁사의 무료배달과 관련한 출혈경쟁 과정 속에서 타사 대비 낮은 수수료를 유지해온 자체배달의 요금체계를 현실화하고 업주와 고객 혜택을 강화하여 지속가능한 사업역량을 확보하기 위함”이라고 덧붙였다.

또한 이번 당사의 중개이용료율 개편이 외식업 가격 인상의 주요인이라는 주장 또한 사실과 다르다는 입장이다.

우아한형제들은 프랜차이즈 가맹본부들과도 대립각을 세워왔다. 한국프랜차이즈산업협회 측은 “배달앱들의 수수료 부담이 가맹점들의 영업에 부담을 주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기 때문이다.

12일 한국프랜차이즈산업협회는 “업계 1위 배달의민족은 지난해 역대 최대인 약 7000억원의 영업이익을 내고도 올해 초 정률제 기반 배민원플러스를 출시, 앱 내 노출, 무료 배달 프로모션 등에서 차별을 두며 절대 다수인 정액제 이용 업주들의 요금제 전환을 반강제해 왔다”며 “이로 인해 현재 외식 프랜차이즈 업계는 30%에 육박하는 극심한 수수료 부담으로 큰 경영위기에 빠져 있으며 불가피한 소비자 가격 인상으로 물가 인상의 주범으로 몰려 전 국민들에게 지탄을 받고 있는 실정”이라고 주장했다.

우아한형제들은 이러한 주장에 대해서도 적극 반박에 나섰다. 우아한형제들은 “가격을 인상한 외식업주의 90.3%는 메뉴가격 인상의 원인으로 '식재료 비용 상승'을 꼽았다”며 “그 외 프랜차이즈 본사 지침(2.81%), 전기/가스 등 공공요금 인상(2.19%), 고용난으로 인한 업무인력 부족(1.40%) 등이 뒤를 이었다”는 설명이다.

이어 “메뉴 가격 인상 이유로 '배달수수료 부담'을 응답한 업주는 전체의 0.61%에 불과했다”며 “최근 중소기업중앙회가 발표한 ‘온라인 플랫폼 입점 중소기업 거래 실태조사’에서는 배달앱 입점 업체들의 비용부담이 감소했다는 응답이 33%로 집계되기도 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