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바이오업계, 개발 비용 부담에 협력 확대..“효율 늘리고 실패 부담 줄여”

우용하 기자 승인 2024.06.16 11:15 의견 0

[한국정경신문=우용하 기자] 국내 제약·바이오 업계에서 신약 개발 위한 협업 사례가 이어지고 있다.

신약 개발 비용 부담이 갈수록 커지는 상황에 각자 확보한 기술의 장점을 최대한 결합하면서 개발 비용과 시간은 줄이고 실패 부담도 덜자는 취지다.

JW중외제약 본사 전경 (자료=JW중외제약)

16일 JW중외제약은 인공지능(AI) 신약 개발 기업 온코크로스와 AI 기반 신약 개발을 위한 공동 연구 계약을 체결했고 밝혔다.

JW중외제약은 온코크로스의 AI 신약 개발 플랫폼을 활용해 항암과 재생 의학 분야 신약의 신규 타깃 질환을 탐색할 예정이다.

동아쏘시오홀딩스의 원료의약품 계열사 에스티팜은 레고켐바이오사이언스와 신규 항체약물 접합체(ADC)에 사용되는 링커 제조 공정을 공동 연구하고 이를 위탁생산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ADC는 항체와 약물이 링커라는 연결물질을 통해 화학적으로 결합한 형태의 항암제다.

계약에 따라 에스티팜은 레고켐바이오사이언스의 ADC 플랫폼에 필요한 링커 일부분에 대한 위탁개발생산(CDMO)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한독은 신약 개발 기업 제넥신, 유전자 교정 기업 툴젠과 함께 차세대 선천 면역 세포치료제를 공동 개발하기 위한 계약을 맺었다. 세 회사는 앞으로 선천 면역 세포 치료제 후보 물질을 발굴하고 생산 공정 개발, 전임상 분석 협력, 공동 연구 성과에 따른 추가 임상 논의를 진행한다.

한미약품도 바이오 벤처 아이젠사이언스와 AI 기반 항암제 연구 개발을 위한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

아이젠사이언스가 AI 플랫폼을 통해 항암 후보 물질을 발굴하면 한미약품은 자사의 연구개발 역량을 활용해 해당 물질의 도입 여부를 평가하는 방식으로 협력이 이뤄질 예정이다.

해외 기업과의 협업도 활발하다.

신라젠은 미국 생명공학 기업 큐리에이터와 항암제 공동 연구 계약을 체결했다. 양사는 PD-1 계열 면역항암제와 신라젠이 스위스 제약사 바실리아로부터 도입한 항암제 'BAL0891' 병용요법을 3D 종양 면역 미세환경 모델에서 평가할 계획이다.

동아에스티도 이스라엘 바이오 기업 일레븐 테라퓨틱스와 리보핵산(RNA) 기반 유전자 치료제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을 맺었다. 이들 기업은 일레븐이 보유한 플랫폼 기술 테라(TERA)를 활용해 섬유증 질환용 RNA 치료제 발굴에 힘을 모은다.

업계 관계자는 "질병의 수는 많은데 개별 기업의 자원은 한정적이라 기업 간 협업이 신약 개발이라는 목표를 위한 수단이 됐다"며 "신약 개발에 투입되는 비용 압박이 늘고 있는 만큼 제약업계 협업 모델은 점점 더 활성화될 전망이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지식과 문화가 있는 뉴스> ⓒ한국정경신문 | 상업적 용도로 무단 전제, 재배포를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