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사도광산 세계유산 심사서 ‘강제노역 설명’ 권고, '보류'.."7월 등재되도록 대응"

윤성균 기자 승인 2024.06.07 08:18 의견 0

[한국정경신문=윤성균 기자] 일제강점기 조선인 강제노역 현장인 사도광산의 세계유산을 추진하던 일본 정부에 다시 제동이 걸렸다.

7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일본 문화청은 지난 6일 유네스코의 세계문화유산 전문가 자문기구가 사도광산의 세계유산 등재와 관련해 ‘보류(refer)’를 권고했다고 밝혔다.

메이지시대 이후 건설된 사도광산 갱도 (자료=연합뉴스)

자문기구는 세계유산으로 추천된 일부 자산의 범위를 수정하는 것과 함께 사실상 한국 정부가 요구해 온 사도광산의 강제노역 역사를 반영하도록 권고했다.

일본 정부는 사도광산의 세계문화유산으로 가치가 인정받았다면서 7월 인도에서 열리는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WHC)에서 등재를 추진하겠다는 입장을 밝혀 강제노역 역사 반영을 둘러싼 한일 간 치열한 외교전이 예상된다.

일본 문화청에 따르면 세계문화유산 등재 심사를 담당하는 유네스코 자문기구인 국제기념물유적협의회(ICOMOS·이코모스)는 사도광산 세계유산 심사 결과로 보류를 결정했다.

이코모스는 등재 심사 대상에 대해 서류심사와 현장실사 등을 거쳐 등재 권고, 보류, 반려, 등재 불가 등 4가지 권고안 중 하나를 결정한다.

보류는 미비한 부분에 대해 추가 자료 제출 등 설명을 요구하는 것으로 자료를 보완하면 당해 또는 다음 연도에 열리는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 회의에서 세계유산으로 등재될 수 있다.

이코모스는 일본 정부가 세계유산으로 추천한 사도광산 중 에도시기 이후 유산이 대부분을 차지하는 지구(地區)는 자산 범위에서 제외해야 한다고 지적하며 일본의 설명을 요구했다.

일본 정부는 사도광산 세계유산 등재를 추진하면서 유산의 대상 기간을 에도시기인 16∼19세기 중반으로 한정해 조선인 강제노역을 의도적으로 배제했다고 비판받고 있다.

이에 한국 정부는 사도광산에서 일제강점기 조선인 강제노역이 이뤄졌다는 사실을 알 수 있도록 강제노역 시기인 일제강점기를 포함해 사도광산의 전체 역사가 반영돼야 한다는 입장이다.

권고 내용을 고려하면 이코모스가 이런 한국 측 주장을 받아들여 사도광산의 '전체 역사를 반영하라'는 취지로 일본에 권고한 것으로 보인다.

사도광산의 세계유산 등재 여부는 오는 7월 21∼31일 인도 뉴델리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 회의에서 최종적으로 결정된다.

저작권자 <지식과 문화가 있는 뉴스> ⓒ한국정경신문 | 상업적 용도로 무단 전제, 재배포를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