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 인상기 잠재부실 ‘빨간불’..다중 채무자 비중 급등

윤성균 기자 승인 2022.08.15 10:48 의견 0
15일 한국은행이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윤창현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가계부채 데이터베이스(DB)상 약 100만명 패널의 신용정보를 바탕으로 분석한 결과 올해 1분기 말 기준 가계대출자 가운데 22.4%가 다중 채무자였다. [자료=연합뉴스]

[한국정경신문=윤성균 기자] 올해 들어 가계대출이 다소 줄어들고 있지만 채무 불이행 등 부실 가능성이 큰 ‘다중 채무자(3곳 이상 금융기관에서 대출)’의 비중은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금리 인상기 이자 부담을 감당하지 못하는 다중 채무자들이 속출하면 금융위기의 원인이 될 수 있는 만큼 대책이 필요하다는 경고가 나온다.

15일 한국은행이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윤창현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가계부채 데이터베이스(DB)상 약 100만명 패널의 신용정보를 바탕으로 분석한 결과 올해 1분기 말 기준 가계대출자 가운데 22.4%가 다중 채무자였다. 작년 말(22.1%)보다 비중이 0.3%포인트(p) 늘어난 것으로 집계가 시작된 2012년 이후 최고 기록이다.

다중채무자 대출잔액 및 차주 수 비중 현황 [자료=한국은행]

1분기 가계부채 DB 표본 데이터로 전체 가계대출 차주 수를 추정하는 작업이 아직 끝나지 않았지만 작년 말 기준 전체 차주 수(1989만4000명)에 이 비중(22.4%)을 적용하면 약 445만6000여 명이 다중 채무자인 것으로 추산된다.

차주(대출자) 수가 아니라 대출 잔액 기준 다중 채무의 비중은 31.9%로 집계됐다.

이는 코로나19 여파가 길어지면서 자영업자 등 한계에 이른 차주들이 저축은행을 비롯한 2금융권 등에서까지 돈을 빌렸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실제로 금융권별 다중 채무자 비중을 보면 저축은행의 경우 1분기 말 대출잔액 기준으로 76.8%, 차주 수 기준으로 69.0%가 다중 채무 상태였다. 지난해 말과 비교해 각각 0.9%p, 1.5%p씩 다중 채무자 비중이 늘었다.

은행의 다중 채무자 비율은 1분기 말 대출잔액과 차주 기준 각 27.6%, 25.4%로 집계됐다. 같은 기간 차주는 0.2%p 높아졌지만 잔액은 0.3%p 낮아졌다.

1분기 현재 다중 채무자의 전체 빚을 연령대로 나누면 40대의 비중이 32.6%로 가장 컸다. 이어 50대 28.0%, 30대 이하 26.8%, 60대 이상 12.6% 순이었다.

40대의 경우 비중이 작년 말보다 1.1%p 떨어졌지만 30대 이하와 50대는 각 0.6%p 0.2%p 씩 늘었다.

아울러 다중 채무자 대출 잔액을 차주의 소득 수준에 따라 살펴보면 고소득자(소득 상위 30%)가 65.6%를 차지했고 중소득자(소득 30~70%)와 저소득자(소득 하위 30%)의 비중은 각 25.0%, 9.4%였다.

작년 말보다 고소득자 비중은 0.3%p 축소된 반면 중소득자와 저소득자는 각 0.2%p, 0.1%p 커졌다.

종합해보면 중·저소득층, 30대 이하 청년층 등 상대적으로 금리 상승의 충격에 취약한 계층의 다중 채무 비중이 빠르게 늘고 있는 셈이다.

최근 금융 안정 보고서에서도 한은은 “앞으로 완화적 금융 여건이 정상화(금리 상승)되는 과정에서 대내외 여건까지 악화할 경우 취약차주의 상환능력이 떨어지고 그동안 대출을 크게 늘린 청년층과 자영업자 취약 차주를 중심으로 신용 위험이 커질 우려가 있다”고 진단했다.

이어 “비은행권 등 금융기관은 대출 건전성 저하 가능성에 대비해 충당금 적립, 자본확충 노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며 “정책당국도 취약 차주의 신용위험 확대가 금융안정을 저해하지 않도록 금융과 소득 측면에서 취약계층을 중심으로 선별적으로 지원해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윤창현 의원도 “다중 채무로 어려움을 겪는 자영업자, 청년, 저소득층이 늘고 있다”며 “이대로 방치하면 금융위기의 원인이 될 수 있는 만큼 정부는 이런 취약 차주들의 고금리 대출을 재조정하는데 정책의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지식과 문화가 있는 뉴스> ⓒ한국정경신문 | 상업적 용도로 무단 전제, 재배포를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