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은행 횡령액 614억→697억원 늘었다..금감원, 잠정 검사 결과 발표

윤성균 기자 승인 2022.07.26 14:43 | 최종 수정 2022.07.26 15:09 의견 0
26일 이준수 금융감독원 부원장이 우리은행 횡령한 사건에 대한 잠정 검사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자료=연합뉴스]

[한국정경신문=윤성균 기자] 614억원으로 알려졌던 우리은행 횡령 사고의 피해액이 697억원으로 불었다. 우리은행 직원이 거액을 횡령하는 과정에서도 은행의 내부통제에 총체적인 문제가 있었음이 드러났다.

26일 금융감독원은 우리은행 횡령 사고에 대한 검사에서 우리은행 본점 기업개선부 직원이 2012년 6월부터 2020년 6월까지 8년간 8회에 걸쳐 총 697억3000만원을 횡령한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이는 당초 우리은행이 고시한 횡령금액 614억원보다 83억원 이상 늘어난 규모다.

금감원은 지난 4월 27일 우리은행으로부터 본점 기업개선부 직원에 대한 600억원대 횡령 사고가 발생했다고 보고받은 뒤 바로 다음 날 검사에 착수했다.

잠정 검사 결과에 따르면 해당 직원은 2012년 6월 우리은행이 보유하던 A사의 출자 전환 주식 42만9493주(당시 시가 23억5000만원)를 팀장이 공석일 때 일회용 비밀번호 생성기(OTP)를 도용해 무단 결재한 뒤 인출했다.

2012년 10월부터 2018년 6월까지는 우리은행이 채권단을 대표해 관리 중이던 대우일렉트로닉스 매각 계약금 614억5000만원을 직인을 도용해 출금하거나 공·사문서를 위조하는 방식으로 3회에 걸쳐 횡령했다.

이후 2014년 8월부터 2020년 6월까지는 대우일렉트로닉스 인천공장 매각 계약금 등 59억3000만원을 출금 요청 허위 공문을 발송해 4회에 걸쳐 빼돌렸다.

금감원은 이번 횡령 사고의 원인에 대해 사고자의 주도면밀한 범죄행위가 주된 원인이나 사고를 미리 예방하거나 조기에 발견할 수 있는 은행의 내부통제 기능이 미흡했던 것으로 판단했다.

직인과 비밀번호를 도용하거나 각종 공·사문서를 여러 차례 위조해 횡령에 이용했음에도 내부통제시스템에서 걸러내지 못했기 때문이다.

이 직원이 같은 부서에서 10년간 장기 근무할 수 있도록 하고 명령 휴가 대상에도 한 번도 넣지 않은 것도 문제로 지적됐다. 파견 허위 보고를 한 뒤 무단결근한 것과 대내외 문서의 등록 및 관리를 부실하게 한 것으로도 드러났다.

또한 통장·직인 관리자가 분리되지 않아 이 직원이 정식 결재 없이 직인을 도용해 횡령할 수 있었던 것으로 조사됐다. 이 직원이 8차례 횡령 중 4차례는 결재를 받았으나 모두 수기 결재 문서라서 진위를 확인할 수 없었다.

우리은행은 이 직원이 꾸민 출금 전표 및 대외 발송 공문의 내용이 결재 문서 내용과 다르다는 사실도 파악하지 못했다. 출자전환 주식의 출고 신청자 및 결재 OTP 관리를 분리하지 않고 이 직원이 동시에 담당하도록 해 무단 인출을 방조한 점도 드러났다.

우리은행이 대우일렉트로닉스와 관련해 보유한 출자 전환 주식의 실재 여부에 대해 부서 내 감사를 실시하지 않았고 본부 부서의 자행 명의 통장의 거액 입출금 거래를 이상 거래 발견 모니터링 대상에 포함하지 않았던 점도 확인됐다.

금감원은 “사고자 개인의 일탈이 주된 원인이지만 대형 시중은행의 본부부서에서 8년이라는 오랜 기간에 걸쳐 700억원에 가까운 거액의 횡령이 발생한 데에는 사고 예방을 위한 내부통제 기능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은 측면이 있다”고 설명했다.

금감원은 횡령한 직원과 관련 임직원 등의 위법 및 부당 행위에 대해선 엄밀한 법률 검토를 거쳐 관련 법규 및 절차에 따라 필요한 조치를 할 방침이다.

아울러 거액의 금융사고가 재발하지 않도록 금융위원회와 함께 실효성 있는 내부 통제 개선 방안을 마련하기로 했다. 금융위와 금감원이 공동으로 관련 태스크포스를 운영할 예정이며 경영실태 평가 시 사고 예방 내부 통제에 대한 평가 비중을 확대하는 등 방안을 검토 중이다.

저작권자 <지식과 문화가 있는 뉴스> ⓒ한국정경신문 | 상업적 용도로 무단 전제, 재배포를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