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21일 윤석열 대통령(왼쪽)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첫 한미정상회담이 열릴 예정이다. [자료=연합뉴스]

[한국정경신문=윤성균 기자] 북한 내 코로나19 상황이 긴박해지면서 조만간 개최될 한미정상회담에서 북한에 대한 인도적 대응 방안이 거론될지 주목된다.

당초 이번 한미정상회담에서 북한의 핵 문제와 한미동맹의 억제력 강화 등에 초점이 맞춰질 것으로 예상됐지만 북한 내 코로나19 확산이 새로운 변수로 등장했다.

15일 대통령실 등에 따르면 오는 21일 윤석열 대통령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첫 한미정상회담이 열릴 예정이다. 이날 정상회담에서 논의하게 될 ‘3대 의제’는 북한 도발 대응, 경제안보, 국제 현안에 대한 양국의 기여 등이 꼽힌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이날 오전 청사 브리핑에서 “(양국 정상이) 북한 도발에 대한 한미 양국 대응 전략과 상황 관리 방안에 관해 얘기할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최근 북한에서 코로나19가 빠르게 확산하면서 상황이 달려졌다.

북한 매체에 따르면 코로나19 감염으로 추정되는 신규 발열자는 12일 1만8000명, 13일 17만4440명, 14일 29만6180명으로 급증했다.

여기에 사실상 0%인 주민 백신 접종률, 부실한 의료 인프라 등을 고려하면 자칫 대규모 인도적 재난이 빚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한미 정상이 회담이나 기자회견 등을 통해 대북 메시지를 보내면서 북한의 이런 상황에 대한 우려나 인도적 지원 의향 등을 피력할 가능성이 커졌다.

실제로 윤석열 대통령은 북한이 코로나19 감염자 발생을 인정한 다음 날인 지난 13일 북한 주민에게 코로나19 백신을 비롯한 의약품을 지원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미국 정부도 남북 간 방역 협력에 대해 “강력히 지지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미국 국무부는 국제백신공동구매 프로젝트인 코백스(COVAX)가 미국이 기부한 화이자 백신을 북한에 지원하기로 한다면 이를 지지하겠다는 입장도 내놨다.

박진 신임 외교부 장관과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장관 역시 상견례 통화에서 북한 내 코로나19 발생에 우려를 밝히고 국제사회와 함께 대북 인도적 지원 방안에 대해 계속 협의하자는 의견을 나눴다.

다만 북한이 한미의 지원을 받아들일지는 미지수다. 북한은 외부 물자 유입에 극도로 민감하게 반응해 왔으며 지금도 자력으로 위기를 극복하겠다는 의지를 밝히고 있다.

정부는 일단 대북 코로나19 방역 지원을 논의할 실무접촉을 조만간 남북채널을 통해 북한에 제안할 방침이다. 실무접촉 제의는 미국과의 사전 교감을 토대로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