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경신문=변동휘 기자] 네이버와 두나무가 기업 결합을 통한 글로벌 도전을 천명했다. AI와 웹3의 융합을 통해 ‘메가 시너지’를 내고 새로운 사업 기회를 창출함으로써 경쟁력을 확보하겠다는 전략이다.
왼쪽부터 박상진 네이버파이낸셜 대표, 최수연 네이버 대표, 이해진 의장, 송치형 두나무 회장, 오경석 대표가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사진=네이버)
네이버와 네이버파이낸셜, 두나무는 27일 경기도 성남 네이버 1784에서 3사 공동 기자간담회를 했다.
이날 행사에는 이해진 네이버 의장, 최수연 대표, 박상진 네이버파이낸셜 대표, 송치형 두나무 회장, 오경석 대표 등이 참석했다.
오경석 두나무 대표는 이번 기업 결합을 통해 펼쳐나갈 비전을 소개했다. 이번 합병의 본질은 양사 역량을 결합해 글로벌 기술 변곡점을 기회로 삼고 더 큰 도약을 준비하기 위함이라고 설명했다.
네이버파이낸셜은 국내 핀테크 산업에서 입증된 역량과 K-컬처 등 글로벌 환경 조성을 발판 삼아 기회를 맞이하고 있다. 두나무 역시 기술과 평판, 거래대금 등을 모두 갖춰 글로벌 거래소로 성장했다.
디지털자산의 쓰임새도 단순 투자를 넘어 자산축적·송금·결제·M2M(머신투머신)정산 등으로 확대되는 추세다. 여기에 글로벌 스테이블코인 도입 등 변곡점을 맞이한 상황이다. 이에 기존 금융 인프라에 블록체인 기반 인프라를 융합해 시장 선점 움직임이 빨라지고 있다. 이러한 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더 빨리, 더 멀리 가기 위해 국내 기업 간 역량 결합이 필요했다는 설명이다.
구체적으로 네이버파이낸셜과 두나무는 각자의 영역인 결제·웹2와 거래·블록체인에서 축적한 기술을 결합하고 글로벌에서의 기회를 모색한다. 동시에 네이버의 AI 기술력까지 융합해 금융 외 영역에서의 웹3 전환을 촉진해 나갈 방침이다.
오 대표는 “기술, 지역, 산업 융합을 통해 글로벌 대응을 위한 체급을 갖춰 팀 코리아의 가능성을 확장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최수연 대표는 네이버의 AI 역량에 두나무가 축적한 웹3라는 축을 결합해 새로운 성장 기회를 창출하겠다고 전했다. 블록체인 대중화와 생성 AI의 발전이 동시에 큰 전환점을 맞은 지금이야말로 새로운 성장 기회를 만들어 나갈 적기라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이번 합병을 계기로 기술인재 양성과 스타트업 투자 등 생태계 형성에 주력할 계획이다. 더욱 많은 플레이어들의 참여를 유도함으로써 글로벌 경쟁력을 높이겠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향후 5년간 10조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최 대표는 “네이버는 독보적인 온서비스 AI 역량을 쌓고 있으며 두나무는 세계적인 디지털자산 거래소를 운영해온 역량이 있다”며 “네이버의 역량에 웹3의 축이 새로 더해지는 것으로 AI와 웹3에서 각기 경쟁력을 갖춘 기업이 결합하는 사례는 해외에서도 보기 힘든 만큼 다양한 영역에서 선도적 사업 모델을 창출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송치형 두나무 회장은 모두발언을 통해 “디지털자산은 송금·결제를 넘어 여·수신과 자산관리 등을 포괄하는 글로벌 금융 플랫폼으로 진화하고 있으며 에이전틱 AI에서도 사용자 인증과 결제 등이 필수적인 만큼 블록체인 기반 금융 인프라는 AI와 결합하기에 최적이라 할 수 있다”며 “3사가 힘을 합쳐 차세대 금융 인프라를 설계하고 나아가 생활 서비스까지 아우르는 새로운 글로벌 플랫폼 질서를 만들어가고자 한다”고 전했다.
이해진 네이버 의장도 “회사 외부에선 네이버가 큰 회사 또는 공룡으로 표현되지만 글로벌 빅테크에 비해 100분의1 수준에 불과한 작은 회사로 매년 생존을 고민할 만큼 어려운 경쟁을 해오고 있다”며 “힘을 합쳐 세계에 유례없던 AI와 웹3의 결합이라는 도전에 나서려 한다”고 이번 결합의 의미를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