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경신문=변동휘 기자] 가상자산 거래소 업비트가 K-디지털자산의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주제로 논의의 장을 열었다.
‘D-CON 2025’ 주요 참가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변동휘 기자)
업비트 운영사 두나무는 19일 서울 여의도 페어몬트 앰배서더 호텔에서 ‘D-CON 2025’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NEXT 대한민국, K-디지털자산’이라는 제목을 내걸었다. 디지털자산 정책 발전 방향과 산업 전반의 글로벌 경쟁력 확보 방안을 논의하기 위함이다.
첫 번째 세션은 ‘새로운 정치 세대, K-디지털자산의 길을 논하다’를 주제로 열렸다. 김형년 두나무 부회장과 김재섭 국민의힘 의원, 천하람 개혁신당 의원, 황정아 더불어민주당 의원 등 여야 초선 의원들이 특별대담을 진행했다. 이들은 세계 각국이 디지털자산 패권 경쟁을 벌이고 있는 만큼 우리나라도 정책적인 뒷받침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디지털자산 산업의 변화와 관련해 김재섭 의원은 “그간 디지털자산은 저장가치에 방점을 두고 좋은 투자처로서 접근하는 방식이 보편적이었지만 이제는 교환가치가 활성화되는 과정”이라며 “이는 각국 화폐주권 및 금융 경쟁력과 밀접한 연관이 있으며 산업은 눈 깜짝할 새에 빠르게 변하는 만큼 금융시스템 변화도 요구된다”고 말했다.
국내 관련 정책에 대해 천하람 의원은 미비한 것과 불필요한 규제가 많다고 지적했다. 그는 “외국인 투자와 법인 자금 유입도 막아둔 상태로 1거래소 1은행 같은 것들도 있다”며 “국내 디지털자산 산업이 글로벌 최상단에 위치할 정도로 치고 나가던 중에 정치가 재를 뿌렸고 그때 박힌 말뚝이 아직도 안 뽑히고 있다”고 비판했다.
황정아 의원은 디지털자산 전체를 포괄하는 업권법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현재 우리나라의 디지털자산 관련 제도는 특금법과 가사자산이용자보호법 두 가지로 각각 자금세탁방지와 이용자 보호에 초점을 맞추고 있지만 여전히 디지털자산 전반을 포괄하는 통합법은 부재하다”며 “산업의 체계적 성장에 한계가 있기에 제정 요구가 높지만 투기 조장 등의 우려가 있기에 시장 상황을 면밀히 보며 신중하게 검토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김형년 부회장은 “한국은 규제가 강해 국적 없는 거래소로 이용자들이 이동하는 것을 많이 봤고 이 부분이 안타까웠다”며 “투자자 보호도 중요하지만 미국만큼의 사업 활성화가 가능하도록 제도가 정비됐으면 좋겠고 안전하고 공정한 환경에서 자유로운 투자를 할 수 있는 환경이 국내에 조성됐으면 한다”고 말했다.
오경석 두나무 대표는 “지금은 또 다른 변화의 시기로 디지털자산은 이를 이끄는 주인공 중 하나이며 주요 국가들은 자국의 산업을 육성해 미래 금융 패권을 쥐기 위한 경쟁에 본격적으로 뛰어들고 있다”며 “우리도 이제 미래 대한민국을 이끌어가기 위해 디지털자산 산업을 어떻게 활용할지 깊이 고민할 시간”이라고 말했다.
두 번째 세션은 ‘K-신드롬, 디지털자산에서도 일어나려면?’을 주제로 열린다. 류혁선 카이스트 교수의 발제와 박혜진 서강대학교 교수, 천창민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수, 한서희 법무법인 바른 파트너 변호사의 토론이 진행된다.
디지털자산이 바꾸는 글로벌 금융 생태계에 대한 논의도 이어진다. 박정호 명지대학교 교수가 발제를 맡는다. 토론자로는 강형구 한양대학교 교수, 김효봉 법무법인 태평양 파트너 변호사, 이효섭 자본시장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이 참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