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경신문=변동휘 기자] 관세협상이 지연되면서 달러 대비 원화 가치가 추락하는 모양새다.

이달 들어 달러 대비 원화 가치가 2.4%가량 떨어졌다. (사진=연합뉴스)

26일 서울 외환시장에 따르면 원달러 환율은 지난 24일 1439.4원에 야간 거래를 마쳤다. 전주 대비 17.2원 상승한 수치다.

지난 23일 장중에는 1441.5원까지 뛰었다. 이는 지난 4월 29일 이후 약 6개월 만에 최고치다.

원달러 환율은 1400원대에서 고착화된 모습이다. 지난달 24일 1400원, 25일 1410원을 연이어 넘어섰다. 이달 들어서는 10일 1430원, 23일 1440원까지 돌파했다.

원화 가치 낙폭은 다른 주요국 통화와 비교해도 큰 수준이었다. 지난 24일 야간 거래 종가를 기준으로 지난달 말 대비 2.39% 하락한 것이다. 같은 기간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 가치가 1.31% 절상됐는데 원화는 그보다 더 크게 절하됐다.

달러화 지수(달러인덱스) 구성 통화 중 유럽연합(EU) 유로(-1.12%), 영국 파운드(-0.86%), 캐나다달러(-0.75%)는 원화보다 하락 폭이 작았고 스위스 프랑(+0.10%)과 스웨덴 크로나(+0.16%) 달러 대비 강세였다. 원화보다 더 떨어진 통화는 일본 엔(-3.12%)뿐이었다.

호주 달러(-1.50%), 대만달러(-1.11%) 등 다른 아시아 통화도 원화보다는 강세였다. 중국 역외 위안(+0.44%)은 달러 대비 가치가 상승했다.

최근 환율 상승 요인으로는 한미 관세협상 불확실성이 꼽힌다. 협상이 길어지면서 불안감이 커진 영향이다. 확장 재정 정책을 공언해온 다카이치 사나에 신임 일본 총리가 취임하면서 엔화가 약세를 나타낸 것도 원화에 약세 압력으로 작용했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역시 지난 23일 통화정책방향 회의 이후 기자간담회에서 “환율이 한 달 새 약 35원 정도 올랐는데 4분의 1은 달러 강세, 4분의 3은 지역·국내 요인이었다”고 말했다.

‘서학개미’ 등 내국인 해외투자 증가세도 구조적 원화 약세 요인으로 꼽혔다. 올해 8월까지의 거주자 해외증권투자액은 886억5000만달러로 같은 기간 외국인 국내증권투자(205억3000만달러)의 약 4.3배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