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경신문=윤성균 기자] 한국산업은행이 미국 관세 충격 대비를 위해 5월부터 운영한 3조 원 규모 ‘위기대응 특별프로그램’의 초기 집행률이 0.5%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 여의도 KDB산업은행 본점 (자료=KDB산업은행)
22일 유동수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산업은행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위기대응 특별프로그램 신설 이후 8월까지의 지원 실적은 4개 기업, 150억원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집행률은 0.5%에 그쳤다.
산업은행은 미국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이후 국내 수출기업들이 겪을 관세 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해 올해 추가경정예산 500억원을 신규 편성받아 3조원 규모의 ‘위기대응 특별프로그램’을 신설해 운영 중이다.
산업은행은 9월 초 제도를 전면 개편했다. 중소기업 지원한도를 30억원에서 300억원으로, 중견기업은 50억원에서 500억원으로 상향했다. 대기업 지원(한도 1000억원)을 신설했다. 금리 인하 폭도 0.2%에서 0.5%로 확대했다.
개편 후 9월 한 달간 107개 기업에 1조2510억원이 집행되며 누적 집행률은 42.2%로 급등했다. 하지만 초기 부진과 급격한 개편은 사전 수요조사 등 준비 부족을 드러냈다는 지적이다.
아울러 산업은행이 자체 운영 중인 2조원 규모 ‘수출경쟁력 강화프로그램’과 지원 대상이 중복될 가능성이 있어 사후 관리 강화가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유 의원은 “9월 실적 급증은 국정감사를 앞둔 ‘자금 밀어내기’로 비칠 수 있다”며 “중소기업 중심의 맞춤형 지원 강화가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