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경신문=윤성균 기자] 농협상호금융의 모바일 플랫폼 ‘NH콕뱅크’가 출시 9년 만에 가입자 1300만명을 돌파했다. 명실상부한 농협의 대표 모바일 플랫폼으로 성장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NH콕뱅킁 고객 증가 추이 (이미지=농협중앙회)

27일 농협중앙회에 따르면 NH콕뱅크는 2016년 7월 출시 후 2019년 9월 가입자 500만 명, 2023년 1월 1000만 명을 돌파했다. 지난해 7월 1200만명을 달성했고 최근 1300만명까지 가입고객이 확대됐다.

모바일 APP에서 간편 조회와 송금 서비스로 출발한 NH콕뱅크는 사용자 편의에 초점을 맞추며 지속적으로 고도화되고 있다. 바로 모바일 앱에서의 가입은 물론 스마트폰이 친숙하지 않은 고객을 위해 영업점에 방문해 간편 인증 후 가입할 수 있도록 했다. 아직 농축협 계좌가 없는 고객도 타행 계좌 인증을 통해 콕뱅크 회원으로 가입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콕뱅크의 화면 구성에서도 사용자를 배려한 다양한 개선노력이 반영돼 있다. 콕뱅크 메인화면에 계좌정보와 서비스 영역을 나누어진 대표화면 외에도 중장년층이 이용하기 쉽도록 큰글 모드 버전을 제공하고 있다. 청소년 전용 콘텐츠 위주의 청소년 모드와 외국인들을 위해서도 9개 언어의 글로벌 모드도 함께 지원하고 있다.

조회·송금·이체 등 주요 뱅킹업무는 기본 기능으로 제공되며 비대면으로 미성년 자녀 명의의 입출식 통장 개설이 가능하다. 농축협이 개별적으로 운영하는 고금리 수신 상품을 한눈에 비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 최대 5000만원까지 안전한 송금이 가능하다. 금융사기 취약계층을 위한 스마트폰 지정 서비스, 사기예방 ARS 서비스, 보안질문 등록 등 금융사기 예방을 위한 사전적 조치를 다양하게 구현하고 있다.

NH콕뱅크는 단순한 금융플랫폼을 넘어 고객이 누릴 수 있는 다양한 생활 편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우선 ‘콕팜’ 서비스에서는 준조합원 가입 프로세스와 제공되는 혜택을 한 눈에 알아볼 수 있다. 만약 이미 조합원인 고객이라면 본인의 출자금 납입내역과 출자배당금 및 조합사업 이용에 따른 이용고배당액 확인 또한 가능하다.

또한 면세유를 사용하는 (준)조합원이라면 면세유 관련 자료와 매년 1, 7, 11월 시행되는 면세유 신고를 비대면으로 할 수 있다. 조합원 소통광장과 콕팜 소식 메뉴를 통해 전국 각지의 조합원과 소통하고 각 지역별 농협의 소식을 실시간으로 접할 수 있다.

NH콕뱅크 앱 내의 쇼핑몰 ‘콕쇼핑’에서는 라이블리, K플라워, 농협몰 등 농협이 직접 운영하는 다양한 쇼핑몰과 연계 해 각종 농수축산물을 저렴한 가격에 이용할 수 있다.

NH콕뱅크 앱을 통해 발생한 수익이 모두 농축협으로 환원된다. 이 수익은 다시 농업인과 지역민을 위한 각종 지원 활동에 쓰이는 선순환 구조의 사업이다.

최근 농협상호금융은 대대적인 회의를 통해 NH콕뱅크의 중장기 발전 전략을 발표했다. 이 날 회의에서 발표한 비전은 데이터, AI, 마케팅 혁신을 통해 농축협과 고객을 더욱 긴밀히 이어주는 NH콕뱅크가 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아울러 2030년까지 모바일뱅킹 선점을 위한 이용자 수 2000만명 이상, 디지털 신기술을 접목한 서비스 혁신, AI를 활용한 고객 맞춤형 마케팅 등의 계획이 담겨있다.

여영현 농협상호금융 대표이사는 “NH콕뱅크가 어느덧 농협의 대표 금융플랫폼으로 성장한 것에 대해 매우 기쁘게 생각한다”며 “지속적인 혁신과 서비스 개선을 통해 조합원 및 고객의 일상과 불가분의 관계를 맺는 진정한 의미의 생활 밀착형 금융플랫폼으로 정착, 새로운 대한민국 농협을 대표하는 아이콘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