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재팬·코로나 쇼크’..유니클로, 국내 매장 폐점 가속화

불매운동·코로나 여파에 무너진 ‘1조원’ 매출 신화
강남점·서초점·경기점 등 이번달 총 9개 매장 폐점

박수진 기자 승인 2020.08.03 14:46 의견 0
지난 2일 유니클로 강남점에 내걸린 영업 종료 안내문 (자료=연합뉴스) 

[한국정경신문=박수진 기자] 에프알엘코리아가 운영하는 일본 의류 브랜드 유니클로의 향후 국내 경영 행보에 업계 이목이 집중된다. 1년째 지속된 일본 불매운동과 코로나19 여파에 이례적으로 9개 매장의 줄폐점 계획을 밝혔기 때문이다. 다만 유니클로 측은 이외에 추가 철수 계획은 없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업계에서는 좀 더 지켜봐야 한다는 눈초리다.

3일 업계에 따르면 최근 유니클로 측은 최근 온라인 소비가 증가하고 있는 유통업계의 소비 트렌드 변화를 비롯해 코로나19 확산, 한일 관계 악화 등 여러 영향을 고려해 이달 내 9개 매장 폐점에 들어간다.

이달 폐점하는 매장은 ▲홈플러스 울산점(9일) ▲김해 아이스퀘어점(16일) ▲청주 메가폴리스점(22일) ▲서울 강남점(31일) ▲서울 서초점(31일) ▲신세계백화점 경기점(31일) ▲부산 남포점(31일) ▲대전 밀라노21점(31일) ▲아산점(31일) 등 9곳이다.

2005년 국내에 상륙한 유니클로는 국내서 큰 인기를 끌며 꾸준한 성장곡선을 그려왔다. 2015년에는 단일 패션 브랜드로서 처음으로 1조원대 매출을 기록했다. 이는 4년 연속 비슷한 규모로 유지돼 왔다. 

하지만 지난해 7월 한일관계 악화로 일본 제품 불매운동이 일면서 유니클로는 직격탄을 맞았다. 당시 유니클로 일본 본사인 패스트리테일링그룹의 오카자키 다케시 최고재무책임자(CFO)가 “(한국의 불매운동은) 오래 가지 않을 것”이라며 국내 소비자들을 자극해 유니클로 불매운동은 다른 일본 제품보다 더욱 거세졌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같은해 10월 유니클로의 플리스 제품 TV 광고가 또 한번 논란을 일으키면서 불매 운동은 돌아올 수 없는 강을 건너게 됐다. 해당 광고는 ‘위안부 할머니들이 아직도 80년 전 일을 들춰내고 있다’는 뉘앙스를 담았다.

이에 유니클로의 지난해 매출액은 전년대비 30% 이상 감소한 9749억원을 기록했다. 2000억원대에 이르렀던 연간 영업이익은 19억원 적자로 전환했다. 작년 8월 말 187개였던 유니클로 매장 수도 현재 기준 174개로 줄었다. 1년 만에 13곳이 줄어든 것. 여기에 이달 폐점이 계획된 9개 매장까지 더하면 총 22곳의 매장이 일본 제품 불매 운동으로 문을 닫게 된다.

현재 유니클로 측은 이달 9개 점포 폐점 외에 추가 철수 계획은 없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하지만 업계에서는 쉽지 않을 것이란 관측이다. 이미 코로나19 여파로 패션업계의 탈(脫) 오프라인 움직임이 본격화 되고 있기 때문이다. 

앞서 삼성물산 패션부문은 지난 6월 간판 브랜드 빈폴의 스포츠 라인을 중단하고, 액세서리 라인은 온라인 사업으로 전환을 밝혔다. 현재 운영 중인 빈폴스포츠 매장 100여개, 빈폴액세서리 매장 50여개는 내년 2월까지 순차적으로 폐점할 계획이다. 

LF는 사업 중단을 선언한 아웃도어 브랜드 라푸마의 매장 30여개를 연내 철수한다. 헤지스·티엔지티·마에스트로 등의 비효율 매장을 정리할 방침이다. 신세계인터내셔날도 전체 매장 400여개 중 비효율 매장 40개를 정리하기로 했다. 무엇보다 우선 유니클로의 자매 브랜드인 지유(GU)도 이달 국내 시장에 진출한지 2년만에 사업을 중단한다. 

유니클로 관계자는 “최근 온라인 소비가 증가하고 있는 유통업계의 소비 트렌드 변화를 비롯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한일 관계 악화 등 여러 영향을 고려해 결정한 것”이라며 “이외에 추가 철수 계획은 아직 없고 다음달 신규 매장 1곳을 개점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지식과 문화가 있는 뉴스> ⓒ한국정경신문 | 상업적 용도로 무단 전제, 재배포를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