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2일(현지시간)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 이사회 의장이 워싱턴 DC 아이젠하워 행정부 건물 사우스 코트 강당에서 발언하고 있다. [자료=연합뉴스]
[한국정경신문=윤성균 기자]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가 당초 예상보다 일찍 물가 안정 조치를 취할 것으로 보인다. 자산매입 축소(테이퍼링) 계획 발표 이후에도 목표치를 웃도는 인플레이션 압박이 지속되고 있어서다.
25일 금융권에 따르면 미 상부무가 발표한 10월 개인소비지출(PCE) 가격지수는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5.0% 올라 1990년 11월 이후 31년 만의 최대 상승률을 기록했다. 또 전월 상승률인 4.4%를 크게 웃돌아 물가 상승이 심해지는 추세를 보였다.
에너지와 식료품을 제외한 근원 PCE 가격지수도 지난해 같은 기간 보다 4.1% 올라 역시 9월 상승률(3.6%)보다 높아졌다. 이 역시 거의 31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오른 것이다.
PCE는 연준이 통화정책을 결정할 때 중요하게 고려하는 지표다.
연준이 24일(현지시간) 공개한 11월 연방공개시장휘원회(FOMC) 정례회의 의사록에 따르면 다수 참석자들은 “물가상승률이 목표치보다 계속 높을 경우 현재 예상보다 빠르게 자산매입 속도를 조정하고 기준금리를 올릴 준비를 해야 한다”고 발언했다.
참석자들은 “월 150억달러 이상의 자산매입 축소(테이퍼링)가 타당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위원회는 특히 인플레이션 압력을 고려해 기준금리 목표 범위를 조정하기에 더 나은 입장이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날 공개된 의사록 내용에 따르면 연준은 높은 수준의 인플레이션이 계속될 경우 테이퍼링 속도를 높일 계획인 것으로 보인다.
앞서 연준은 지난 2~3일 열린 FOMC 회의를 마친 뒤 테이퍼링 시작을 공표했다. 우선 11월과 12월 150억달러(약 17조8000억원)씩 점진적으로 자산매입 규모를 줄일 계획으로 상황에 따라 축소 규모를 조정할 수 있다고 밝혔다.
11월 FOMC 이후 발표된 미국의 소비자물가상승률이 연준 목표치인 2%의 2배가 넘는 수준이기 때문에 다음 달 14~15일 FOMC 정례회의에서 테이퍼링 속도와 내년 금리 인상 시작 시점에 대한 논의가 더 활발하게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