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경신문=우용하 기자] 성수전략정비구역 1지구와 2지구가 사업 추진에 난항을 겪고 있다. 시공사 선정 과정에서 발생한 갈등이 각 지구의 조합장 해임 시도로 이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일각에서는 사업 정상화에 최소 6개월 이상 소요될 것이란 주장도 제기됐다.
5일 정비업계에 따르면 성수1지구의 시공사 선정 활동은 조합 내홍으로 인해 재개되지 못하고 있다. 서울시 실태조사 결과에도 불구하고 비상대책위원회가 조합장 해임을 추진하고 있어서다. 바로 옆 성수2지구에서는 ‘무응찰’ 사태가 발생한데 이어 성비위 논란으로 사퇴 의사를 밝혔던 조합장이 입장을 번복하고 복귀했다. 이로 인해 조합원·비대위와 조합 간의 갈등의 골만 깊어지는 분위기다.
최근 서울시는 성동구청의 의뢰를 받고 성수1지구 조합에 대한 실태조사를 진행했다. 지난 8월 진행된 시공사 입찰 과정에서 조합과 건설사 사이에 유착이 있었다는 의혹을 확인하기 위해서다. 조사 결과 건설사에 대한 지적은 있었지만 조합은 ‘무혐의’ 결론을 받았다.
이번 조사를 통해 조합을 둘러싼 의혹은 해소됐다. 하지만 비상대책위원회 측에서 조사 결과와 상관 없이 조합장 해임총회를 강행하고 있어 곧바로 시공사 재입찰이 이뤄지긴 힘들어 보인다.
인근 공인중개업소 관계자는 “비대위가 서울시의 조사 결과는 무시하면서 단합 대신 다툼에만 나서고 있다”며 “다 같이 사업 재추진에 힘을 모아야 하는데 조합이 반복해서 흔들린다면 지연과 비용 상승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성수2지구는 1지구보다 더한 갈등을 겪고 있다. 먼저 지난달 종료된 시공사 선정 입찰은 ‘무응찰’로 마무리됐다. 포스코이앤씨와 삼성물산, DL이앤씨가 관심을 보였으나 조합이 입찰보증금 1000억과 컨소시엄 불허, ‘경쟁입찰’ 방침을 내세우자 참여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조합장을 둘러싼 논란도 재점화됐다.
당초 2지구 조합장은 성비위 의혹이 발생하자 곧바로 사임 의사를 밝혔다. 하지만 시공사 입찰이 종료된 후 남은 임기를 채우겠다며 기존 입장을 번복한 것이다. 현 조합장이 복귀하자 2지구 비상대책위원회와 일부 조합원들은 조합 집행부를 대상으로 한 해임 절차에 돌입했다. 현재 총회 소집 동의서 접수가 마무리됐다고 알려진 만큼 이달 중 공고를 올릴 것으로 전망된다.
조합원들 사이에서는 이번 번복 사태로 2차 입찰뿐 아니라 전체 일정마저 혼란에 빠질 수 있다는 우려도 이어졌다. 집행부를 해임한 후 재구성하기 위해서는 사업이 최소 반년가량 지연될 것으로 전망돼서다.
성수2지구 한 조합원은 “지금 분위기를 본다면 입장을 번복한 조합장이 오래 자리하긴 힘들어 보인다”며 “하지만 내홍 수습에 들어갈 시간을 고려한다면 사업이 정상궤도로 돌아오기까지 최소 6개월 이상 필요해 보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