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경신문=서재필 기자] MBK 파트너스가 최근 롯데카드에서 발생한 사이버 침해 사고와 관련해 불거진 주주사 책임론에 전면 반박하고 나섰다.
MBK 파트너스는 22일 이와 같은 내용의 입장을 전했다. 2020년부터 2025년까지 약 6000억 원에 달하는 IT 투자를 통해 정보보안 강화를 꾸준히 추진해 왔는 것이 주요 내용이다.
MBK 파트너스가 최근 롯데카드에서 발생한 사이버 침해 사고와 관련해 불거진 주주사 책임론에 전면 반박하고 나섰다.(사진=연합뉴스)
롯데카드와 MBK파트너스는 “2020년부터 2025년까지 롯데카드의 IT 투자 규모는 총 5921억원에 달한다. 이 가운데 보안 투자는 654억6000만 원으로, 전체 IT 투자 대비 평균 11%를 차지한다”고 설명했다.
2020년부터 2024년까지 IT 투자 규모는 같은 기간 롯데카드 당기순이익의 약 40%에 해당하며, 총 배당액의 1.5배 수준이라는 점을 강조했다.
이어 “MBK 파트너스를 비롯해 롯데카드의 주요 주주사들이 단기적 배당 이익보다 시스템 안정성과 고객 신뢰 확보를 우선시해 왔음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롯데카드는 기업지배구조 면에서도 특정 주주사에 치우치지 않은 균형 잡힌 구조를 갖추고 있다고 설명했다.
현재 이사회는 조좌진 대표이사, MBK 파트너스 측 기타비상무이사 2명, 롯데쇼핑 측 기타비상무이사 1명, 사외이사 5명으로 구성돼 있다. 이를 통해 전문성과 독립성을 확보한 가운데, 경영 전반에 대한 건전한 감시와 견제가 이뤄지고 있다는 설명이다.
또한 이사회 산하에는 리스크관리위원회, 보수위원회, ESG위원회, 내부통제위원회 등 4개 전문위원회가 설치돼 있다. 이를 통해 경영진 의사결정에 대한 건전한 견제는 물론 기업 가치 제고와 장기적 성장 전략 수립을 위한 다양한 제안이 이뤄지고 있다.
MBK 파트너스 관계자는 “IT와 보안, 거버넌스는 기업 가치와 고객 신뢰를 지키는 핵심 자산이라는 인식 아래, 지난 5년간 꾸준한 대규모 투자를 이어왔다”며 “일부에서 제기되는 관리 소홀 주장은 사실이 아니며 앞으로도 롯데카드가 보안 체계를 더욱 강화해 나갈 수 있도록 다른 주주사들과 함께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