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산강유역환경청은 지난 7일 포스코 광양제철소 통합허가 자율이행관리 협의회(2기)를 개최해 자율 환경시설개선 성과를 공유했다고 밝혔다. (자료=영산강유역환경청)

[한국정경신문(광주)=최창윤 기자] 영산강유역환경청(청장 김영우)은 지난 7일 포스코 광양제철소 통합허가 자율이행관리 협의회(2기)를 개최해 자율 환경시설개선 성과를 공유했다고 밝혔다.

이번 통합환경관리제도는 대기·수질 등 환경매체별로 분산된 환경 인허가를 하나로 통합해 사업자에게 편의를 제공하는 동시에 주변환경과 사업장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관리를 통해 환경관리를 개선하려는 목적으로 2017년 1월 1일부터 시행됐다.

통합허가 자율이행관리 협의회는 통합허가사업장인 포스코 광양제철소가 전문기관을 통해 환경시설개선을 위한 자율진단을 실시하고 있다.

또 개선효과(환경시설 투자 증가,운영관리기준 위반율 감소 등)를 영산강청 및 관계기관 등과 공유하는 선제적 자율환경관리의 일환으로 2023년부터 운영되고 있다.

협의회는 영산강유역환경청(환경관리국장)을 위원장으로 관계기관(전남도, 광양시), 전문가 3인(한국환경공단, 교수)등 총 7인으로 구성 운영된다.

그간 자율이행관리 협의회(2기) 주요 추진성과는 ▲시설관리기준 개선사항 발굴(88건) 및 개선조치 진행(44건) ▲인허가 및 시설관리 가이드(Guide) 제안(유형별 8건) ▲포스코 환경시설 우수 운영사례 공유 등이다.

이번 협의회에서는 통합허가조건 이행 및 시설 개선사항 모니터링(영산강청), ‘25년 환경투자계획 발표(포스코), 환경시설의 자율진단 결과 공유 및 시설개선 사항 제안(전문기관→사업장) 등 전문가 및 관계기관의 의견을 수렴했다.

김영식 위원장(통합허가 자율이행관리 협의회)은 “사업자의 자발적인 환경관리 개선 유도가 통합환경관리제도의 취지인 만큼 포스코의 선제적 자율관리가 오염물질 감축 뿐만 아니라 통합환경관리제도의 선도적 역할을 하길 바란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