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에너지솔루션 미국 미시건주 전기차 배터리 공장 [자료=LG에너지솔루션]
[한국정경신문=이혜선 기자] LG에너지솔루션((전 LG화학 배터리 사업부문)이 미국 조지아주에 직접 배터리 공장을 설립하거나 SK이노베이션의 기존 공장 인수에 참여할 수 있다는 의향을 내비쳤다.
12일(현지시간) 지역매체인 AJC에 따르면 김종현 LG에너지솔루션 사장은 지난 10일 주 상원의원 래피얼 워녹에게 보낸 서한을 통해 이 같은 입장을 밝혔다.
김 사장은 "LG는 조지아주 주민과 노동자들을 돕기 위해 무엇이든 할 준비가 돼 있다"고 강조했다.
만약 외부 투자자가 SK의 조지아주 공장을 인수한다면 이를 운영하는데 LG가 파트너로 참여할 수도 있다고 했다.
김 사장은 "늘어나는 전기자동차 배터리 수요 때문에 많은 투자자와 제조업체가 (SK의 조지아주) 커머스 공장에 관심을 가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 같은 LG의 입장은 ITC 결정 이후 조지아주 내에서 나오고 있는 우려와 이로 인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거부권 행사 가능성을 차단하기 위한 의도로 풀이된다.
앞서 ITC는 지난달 10일 SK가 LG의 배터리 영업비밀을 침해했다며 SK 측에 일부 리튬이온배터리 수입을 10년간 금지하는 명령을 내렸다. 다만 포드와 폭스바겐의 미국 내 생산용 배터리와 부품에 대해서는 일정 기간 수입을 허용하는 유예 조처도 함께 결정했다. SK는 백악관에 대통령의 거부권 행사를 요구하고 있다.
일자리가 중요한 조지아주는 일단 SK 측 입장을 대변하고 있다. 조지아 주정부는 12일 브라이언 캠프 주지사가 조 바이든 대통령에게 보낸 서한에서 ITC의 SK이노베이션 배터리 수입금지 조처를 뒤집어달라고 재차 요청했다고 밝혔다.
켐프 주지사는 서한에서 커머스에 건설되는 SK의 전기차 배터리 공장이 앞으로 2600명을 고용할 예정이며 SK가 공장을 짓고자 투자한 26억달러(약 3조원)는 조지아주 역대 최대 외국인 투자라고 설명했다.
켐프 주지사는 SK가 2025년까지 공장을 확장해 고용원을 6000여명으로 늘리고 배터리 생산량도 연간 생산량도 50GWh(기가와트시) 규모로 늘릴 계획이라고 소개하면서 "조지아주 공장이 경제적으로 존속할 수 없게 만들 ITC 결정을 대통령이 번복하지 않으면 공장을 닫을 수밖에 없다는 것이 SK의 설명"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