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경신문=임윤희 기자] 삼성전자가 차세대 인공지능(AI) 패러다임인 ‘에이전틱 AI’를 앞세워 산업과 일상을 혁신하겠다는 비전을 선보인다.

삼성전자가 오늘부터 이틀간 ‘삼성 AI 포럼 2025’를 개최한다고 15일 밝혔다. 올해로 9회째를 맞는 이번 포럼은 학계와 산업계 전문가들이 모여 AI 연구 성과를 공유하고 기술 방향을 모색하는 자리다.

'삼성 AI 포럼 2025' 2일차에서 삼성전자 CTO 겸 삼성리서치장 전경훈 사장이 영상을 통해 환영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사진=삼성전자)

첫날 행사는 DS부문 주관으로 경기도 용인 ‘The UniverSE’에서 진행된다. 초청자 200여 명이 참석해 ‘반도체 산업의 버티컬 AI 전략과 비전’을 논한다.

기조 강연자로 나서는 요슈아 벤지오 몬트리올대 교수는 AI 잠재적 위험 요소를 짚고 대응 방안으로 ‘과학자 AI’ 모델을 소개한다. 그는 “AI는 인간을 흉내내는 것이 아니라 검증된 사실과 데이터를 기반으로 정직한 답변을 제공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지멘스 EDA 아밋 굽타 부사장은 ‘AI 기반 전자 설계의 미래’를 주제로 강연한다. 그는 “반도체 설계 자동화에 AI를 통합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전체 워크플로우를 아우르는 엔드투엔드 시스템이 필요하다”고 밝힌다.

16일 열리는 둘째 날 행사는 DX부문이 주관한다. 주제는 ‘생성형 AI를 넘어, 에이전틱 AI로’다.

UC 버클리 조셉 곤잘레스 교수는 ‘슬립타임 컴퓨트’를 포함한 LLM 에이전트 고도화 연구를, 애리조나주립대 수바라오 캄밤파티 교수는 ‘대규모 추론 모델’을, 스탠퍼드대 스테파노 에르몬 교수는 ‘확산 언어모델’을 각각 발표한다.

삼성리서치 AI센터는 카메라 색온도 자동 조절, 지식 증류 기반 LLM 학습 기법, 온디바이스 AI 기술, 실감나는 더빙 음성 합성 등 연구 성과를 선보인다.

또한 보고서를 분석·작성하는 ‘Deep Dive’, 문서를 구조화하는 ‘문서 AI’, 생성형 AI 모델 개발 주기를 단축하는 ‘온디바이스 AI 스튜디오’도 공개한다.

삼성전자 DX부문 최고기술책임자(CTO) 겸 삼성리서치장 전경훈 사장은 "생성형 AI는 이미 일상과 산업 전반에서 필수 도구로 자리잡았다"며 "본격화되는 에이전틱 AI 시대에 맞춰 사용자에게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AI 기술을 준비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