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경신문=이진성 기자] 한국동서발전은 11일 현대자동차와 동서발전 울산발전본부에서 태양광 발전설비와 직접 연계해 운전하는 '수소연료전지 운전시스템 고도화 실증사업'에 착수했다고 이날 밝혔다.
한국동서발전 울산발전본부에서 운영 중인 1메가와트(MW) 규모 고분자전해질막 수소연료전지 (사진=한국동서발전)
동서발전은 울산발전본부 내 태양광 발전설비(0.5메가와트)와 국내 최대 규모로 진행 중인 수소연료전지 국산화 실증설비(1메가와트)를 연계해 태양광 발전량에 따라 수소연료전지 출력을 실시간 제어하는 유연 운전 시스템을 개발하기로 했다.
글로벌 최고 수준의 고속 출력 제어 기술과 최저부하 안정 운전 기능 개발 등 수소연료전지 운전시스템 고도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재생에너지 기반 통합발전소(VPP) 및 분산에너지 사업에 활용 가능한 통합 발전 운영 기술을 확보한다는 방침이다. 현대자동차는 자체 개발한 발전용 수소연료전지 시스템의 고정밀, 고속 출력제어 기술을 실증하고 안정적인 연료전지 운영 전략을 검증해 새로운 사업영역 구축의 기반을 마련할 것으로 보인다.
이와 관련해 최근 재생에너지 보급 확대에 따라 기상 조건에 의한 출력 변동과 계통 수용 한계로 발생하는 발전 출력제한 등의 문제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기존 연료전지는 고정 출력 운전에 한정돼 있어 변동성 대응에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는 향후 재생에너지 확대와 계통 안정성 저해 요인으로 대두되고 있다.
이같은 상황으로 실시간 출력 조정이 가능한 차세대 연료전지 운전 기술 확보는 전력계통 안정성과 신재생에너지 보급 확대를 동시에 달성하기 위한 핵심 기술로 주목받는 중이다.
엄상민 동서발전 미래기술융합원장은 "이번 과제는 분산에너지 기반 통합발전소(VPP) 사업 등에서 유연 발전원으로 활용 될 수 있는 수소연료전지 운영 핵심 기술 개발"이라며 "탄소중립을 위한 친환경 발전 기술 개발을 선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