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경신문=이진성 기자] 일부 시민사회단체들이 한일 정상회담과 관련해 유감을 표명했다.
이재명 대통령과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가 지난 23일 일본 도쿄 총리 관저에서 열린 한일 확대정상회담에 앞서 기념촬영을 하며 악수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정의기억연대(정의연)는 24일 입장문을 내고 "실용외교라는 명분에 역사정의가 가려졌다"고 평가했다. 정의연은 양국 정상이 셔틀 외교 복원과 협의체 출범 등을 합의했지, 일본군 위안부 인권침해 문제는 언급이 없었다는 입장이다.
정의연은 "대한민국 정부는 가해자의 책임 인정과 구체적인 실천 방안을 당당히 요구하면서 한일관계의 대전환을 모색했어야 했다"고 꼬집었다.
민족문제연구소도 성명을 내고 "역사 정의를 외면한 회담 결과"라고 주장했다. 연구소는 법원이 강제동원·위안부 문제와 관련해 일본 측에 배상 책임을 물으며 1965년 한일청구권협정의 한계를 극복했음에도 이재명 정부가 '65년 체제'를 답습하려 한다고 비판했다.
연구소는 "역사를 봉인하고 미래지향을 선언한다고 일본의 책임은 없어지지 않는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