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경신문=서재필 기자] 국내 조선업계가 한미 조선협력 패키지인 마스가 프로젝트를 위해 머리를 맞댄다. 1500억달러 규모 조선 전용 펀드의 구체적인 이행 방안을 논의하고 양국 간 협력을 뒷받침하는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3일 업계에 따르면 국내 조선업체 빅3인 HD한국조선해양, 한화오션, 삼성중공업과 한국조선해양플랜트협회는 최근 한미 조선 협력과 관련한 태스크포스(TF)를 가동했다. 각사별 임원과 직원이 한 명씩 참여한 구조다.
국내 조선업체 빅3인 HD한국조선해양, 한화오션, 삼성중공업과 한국조선해양플랜트협회는 최근 한미 조선 협력과 관련한 태스크포스(TF)를 가동했다.(사진=연합뉴스)
한 차례 상견례 모임을 가진 TF는 이달 초중순 조선업계 휴가 기간이 끝나는 대로 마스가 프로젝트와 관련한 논의를 본격화할 예정이다.
업계 관계자는 "한미 조선 협력에는 다양한 실행 방안이 있을 것으로 보이는데, 이를 지원하고 서포트하기 위한 조직"이라며 "업계가 TF를 통해 정부의 마스가 프로젝트에 협력한다는 취지"라고 설명했다.
앞서 정부는 지난달 30일(현지시간) 미국과의 무역 합의를 통해 1500억달러(약 209조원) 규모의 조선 협력 펀드를 조성한다고 밝혔다. 전체 3500억달러(487조원) 펀드의 43%를 차지하는 단일 업종 최대 규모의 펀드로 국내 조선사들의 대미 투자를 공적 금융 중심으로 뒷받침하는 구조로 분석된다.
현재로선 조선 협력 펀드의 구체적인 안이 드러나지 않아 향후 한미 정부 간 논의에 따라 TF 활동이 본격화할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신규 조선소 건설, 인력 양성, 선박 건조, 유지보수(MRO) 등을 포괄한다는 것이 정부 설명이지만 아직 구체적인 방향성은 잡히지 않았다.
업계 관계자는 "펀드 자체가 'G2G'(정부 간 협력) 성격이 강하다"면서 "현재 TF는 업계 동향을 파악하고 미국 등 정보를 수집해 공유하는 정도겠지만 향후에는 조선업계 수요를 수렴해 정부에 전달하는 창구 역할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펀드가 기업 수요에 기반한 프로젝트에 투자될 예정인 가운데 조선 3사가 TF라는 논의 테이블을 통해 대미 전략을 공유하고 조율할 수 있다는 것이다.
정부 관계자는 "미국에 진출하고 투자를 하는 데 있어 업계를 대상으로 수요 발굴을 진행할 것"이라며 "자금을 모으는 것도 중요하지만 좋은 프로젝트를 발굴해 펀드를 잘 설계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