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경신문=윤성균 기자]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연 2.50%로 동결했다. 환율 급등과 수도권 부동산 시장, 가계대출 자극 우려를 고려한 결정으로 풀이된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7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한은 금융통화위원회가 27일 기준금리를 연 2.50%로 유지했다.
한은은 작년 10월부터 올해 5월까지 다섯 차례 금리를 인하하며 완화 기조를 이어왔다. 하반기 들어 네 차례 연속 동결했다. 최근 환율 불안과 서울 아파트 가격 상승세, 가계대출 증가(11월 2조6000억원 증가) 등 금융 불안 요인이 주요 배경이다.
다만 반도체 수출 호조와 소비 회복으로 한은은 올해 성장률 전망을 1.0%, 내년은 1.8%로 상향 조정했다.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이런 경기 회복 전망, 환율·집값 불안 등을 근거로 아예 한은의 금리 인하 사이클(주기)이 끝났다는 분석까지 나오고 있다.
박정우 노무라증권 이코노미스트는 “반도체 중심의 견조한 수출, 소비 회복에 힘입어 경기 흐름이 개선되고 있는 만큼 추가 금리 인하 필요성이 크지 않다”며 “한은의 금리 추가 인하가 없어도 한국 경제 성장률이 잠재성장률을 회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은 금통위의 의결문 표현에서도 변화가 나타났다. 금통위는 향후 통화정책 방향을 두고 “금리 인하 가능성을 열어두되 대내외 정책 여건의 변화와 이에 따른 성장·물가 흐름, 금융안정 상황 등을 면밀히 점검하면서 기준금리의 추가 인하 여부·시기를 결정해 나갈 것”이라고 했다.
기존 ‘인하 기조’가 ‘가능성’으로, 추가 인하 ‘시기’가 ‘여부’로 바뀌었다. 향후 경제·금융 상황에 따라선 추가 인하를 안 할 수도 있다는 뜻으로 해석될 여지가 있다.
다만 일각에서는 내년 하반기 1~2회 추가 인하 가능성도 전망하고 있다.
조영무 NH금융연구소장은 “내년 4월 한은 총재 교체 이후 하반기까지 1~2회 인하 기조가 이어질 수 있을 것”이라며 “내년 성장률 상승이 대부분 기저효과 때문인데, 하반기로 갈수록 기저효과가 약해지면 경기 우려가 커지고 한은이 금리 인하를 고려할 가능성이 커지기 때문”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