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경신문=윤성균 기자] 한국의 건설업 사고사망률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주요국 대비 2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한국건설산업연구원 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 국내 건설업 사고사망만인율(근로자 1만명당 사망자 비율)은 1.59‰(퍼밀리아드)였다. (이미지=연합뉴스)

15일 한국건설산업연구원 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 국내 건설업 사고사망만인율(근로자 1만명당 사망자 비율)은 1.59‰(퍼밀리아드)였다. OECD 경제 10대국 중 가장 높았다. 10개국 평균(0.78‰)의 2배를 넘는 수치다.

뒤를 이어 캐나다(1.08‰), 프랑스(0.97‰), 미국(0.96‰) 순이었다. 영국이 0.24‰로 가장 낮았다.

전체 산업 기준으로도 한국의 사고사망만인율은 0.39‰로 캐나다(0.50‰) 다음 2위였다. 10개국 평균(0.24‰)보다 1.6배, 영국(0.04‰) 대비 9.8배 높았다.

보고서는 건설업이 옥외 작업, 근로자 고령화, 사업 구조의 복잡성 등 다양한 변수로 위험 요인이 많고 불확실성이 높은 산업인 만큼, 산업적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안전 관리 체계를 강화해야 한다고 제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