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경신문=서재필 기자] 이재명 정부의 첫 국정감사 일정의 막이 올랐으나 채택된 주요 증인들의 출석이 묘연하다. 기업 총수 줄세우기를 지양하자는 정부 기조가 반영됐지만 반쪽짜리 국감이라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14일 불공정 거래 및 수수료·정산 구조 등 현안을 다루는 산자위 국감에서 일부 증인들이 불출석을 알렸다. 김기호 아성다이소 대표는 의원실에 성실히 답변을 소명하면서 증인 철회서를 제출했고 조만호 무신사 대표는 해외 출장 사유로 불출석을 알렸다.
김병주 MBK파트너스 회장(사진=MBK파트너스)
산자위 국감에서는 플랫폼의 독점적 지위 남용, 불공정 거래 행위, 소상공인에게 전가되는 비용 문제, 소비자 정보 보호 등의 현안을 다룬다. 일부 기업 대표들이 증인 불출석을 알리면서 현안 질의는 배달의민족으로 집중될 것으로 보인다.
김범석 우아한형제들 대표는 산자위와 정무위 국감 증인으로 이름을 올리고 있다. 산자위에서는 배달 앱 운영에 있어 소상공인과의 상생 노력과 지원 사업의 실효성과 소상공인에게 가중되는 비용 부담, 불합리한 운영 방식 등에 대한 질의를 받을 것으로 보인다.
정무위에서는 김병주 MBK파트너스 회장의 출석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점쳐진다. 그간 김 회장은 국감에 출석하지 않았으나 올해는 불출석 사유를 밝히지 않은 만큼 출석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정무위 국감에서는 홈플러스가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를 밟게 된 과정에서의 최대주주 MBK파트너스의 경영 책임을 집중적으로 추궁한다. 단기 수익 창출을 목표로 하는 사모펀드(PEF)의 투자가 기업의 재무구조를 악화시키고 장기 성장 동력을 훼손했다는 비판이 거세다.
김병주 회장은 기후에너지환경노동위원회(환노위) 종합감사에서도 노동자 처우 문제에 대한 질의를 받는다.
김광일·조주연 홈플러스 공동 대표는 홈플러스 기업회생 현안을 알리기 위해 증인 출석 의지를 밝힌 것으로 전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