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경신문=서재필 기자] 최근 국내 통신사와 카드사 등의 고객 개인정보가 유출돼 논란이다. 이런 가운데 전국 지방자치단체도 해킹 공격에 무방비 노출된 것으로 확인된다.

12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박정현(대전 대덕) 의원이 전국 지자체에서 제출받은 해킹현황 자료를 살펴보면 최근 4년간 약 4788만건의 해킹 시도가 있었던 것으로 조사됐다. 한해 약 1200만건, 하루 평균 3만2000여건의 시스템 침입 시도가 있었던 셈이다.

최근 4년간 전국 지자체에 대한 약 4788만건의 해킹 시도가 있었던 것으로 조사됐다.(사진=Freepik)

2022년 연간 800여만건이었던 지자체 해킹 시도는 지난해 1158만건을 기록했다. 올해 7월 기준 해킹 시도가 이미 지난해보다 많은 1887만건에 달하는 등 매해 급증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자료에 따르면 4년간 발생한 전체 해킹 시도 중 99%가 서울과 충남지역에 집중됐다. 특히 올해 전국에서 가장 많은 1200만건의 해킹 시도가 있었던 충남지역 지자체에 대한 해킹 시도 증가세가 유독 가팔랐다.

해킹 시도 유형별로는 서비스 거부(491만건)가 가장 많았고, 정보 수집(344만건), 시스템 권한 획득(146만건), 정보 유출(65만건), 홈페이지 변조(52만건), 악성코드(51만건) 등의 순이었다.

개인정보 유출, 시스템 정지 등과 같은 15건의 피해가 실제 발생했다. 강원도에서 가장 많은 12건의 피해가 발생했고 인천(2건)과 대전(1건)에서도 시스템 보안망이 뚫렸다. 해킹 공격 출저를 살펴보면 국내 비율보다 해외 비율이 11배가량 높았다.

박정현 의원은 "전국 지자체 대상 해킹 시도 건수가 나날이 증가하며 정보 유출이 우려되는 상황"이라며 "정보 유출은 단 한 건이라도 사고로 이어질 경우 국가 안보와 국민 안전을 위협하는 심각한 사안인 만큼 보다 체계적인 대응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