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3일 오전 8시 38분 광양항 동측 배후단지 내 A업체 물류 보관창고에서 발생한 화재는 4일째 이어지고 있으며 소방당국은 완전한 진화까지 최소 한 달 이상이 걸릴 수 있다고 경고했다. 현재까지도 시민들에게 막대한 피해와 불편을 주고 있다. 이번 화재는 단순한 사고가 아니라 항만 배후단지 관리·감독의 총체적 부실이 드러난 심각한 사태이다. (자료=광양환경운동연합)
[한국정경신문(광양)=최창윤 기자] (성명서 전문) 지난 13일 오전 8시 38분 광양항 동측 배후단지 내 A업체 물류 보관창고에서 발생한 화재는 4일째 이어지고 있으며 소방당국은 완전한 진화까지 최소 한 달 이상이 걸릴 수 있다고 경고했다. 현재까지도 시민들에게 막대한 피해와 불편을 주고 있다. 이번 화재는 단순한 사고가 아니라 항만 배후단지 관리·감독의 총체적 부실이 드러난 심각한 사태이다.
창고 안에는 750kg짜리 알루미늄 광재 톤백 약 4000개(3000톤가량)가 적치돼 있었으며 이 중 1000개 가까이가 연소 중이다. 인근 창고에는 이와 동일한 광재 8000개 약 6000톤이 더 쌓여 있고 그 옆엔 카본, 우드칩, 폐지류 등 정체불명의 폐기물이 무단으로 방치돼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 결과 화재는 장기화 될 수밖에 없고 그 과정에서 발생하는 매연과 분진은 중마동·광영동·금호동 등 광양시 전역으로 확산해 시민들의 건강과 생활환경을 뿌리째 위협하고 있다.
화재 초기 현장에서 소방관계자들은 사력을 다해 화재 확산을 막기 위해 고군분투했으나 정작 관계 행정기관은 어떠한 대책 논의도 하지 않은 채 진화의 책임을 소방에만 떠넘긴 모습이었다. 이처럼 협력체계가 작동하지 않는 현실은 결국 지역주민들의 안전을 위협하는 관리 실패의 단면을 드러낸 것이다.
시민들은 매연으로 숨조차 쉬기 어렵고 아이들과 노약자들은 장기간 유해물질 노출에 따른 건강 피해 우려 속에 불안한 나날을 보내고 있다.
지난 15일 광양시는 전라남도 환경보건원에 요청해 시행한 이동식 대기오염 유해 측정 차량으로 현장에 투입, 휘발성 유기화합물(VOC) 측정결과 이상 없다는 결괏값을 확인했다.
하지만 화재가 지속으로 발생해 누적된 매연은 장시간 노출되었을 때 시민들의 건강상 유해성이 있는지 정확한 판단을 하기 위한 검사방식의 전환이 필요하다. 장기 노출 피해에 대한 과학적 검증과 책임지는 자세는 전혀 찾아볼 수 없다. 인근 주민들은 매연으로 인해 생활 불편을 심각하게 겪고 있으며 광양항 일대는 이미 환경 재난의 현장이 되고 있다.
이번 화재는 단일 기업이나 창고 관리자의 책임에만 그칠 사안이 아니다.
여수광양항만공사와 광양만경제자유구역청은 항만 배후단지의 보관 및 환경관리 주체로서 수년간 폐기물이 방치되도록 묵인했고 이번 사태로 인해 관리·감독 소홀의 책임에서 결코 자유로울 수 없다. 또한 상위기관 차원의 감사와 철저한 진상규명이 반드시 뒤따라야 한다.
지난 13일 오전 8시 38분 광양항 동측 배후단지 내 A업체 물류 보관창고에서 발생한 화재는 4일째 이어지고 있으며 소방당국은 완전한 진화까지 최소 한 달 이상이 걸릴 수 있다고 경고했다. 현재까지도 시민들에게 막대한 피해와 불편을 주고 있다. 이번 화재는 단순한 사고가 아니라 항만 배후단지 관리·감독의 총체적 부실이 드러난 심각한 사태이다. (자료=광양환경운동연합)
지난 13일 오전 8시 38분 광양항 동측 배후단지 내 A업체 물류 보관창고에서 발생한 화재는 4일째 이어지고 있으며 소방당국은 완전한 진화까지 최소 한 달 이상이 걸릴 수 있다고 경고했다. 현재까지도 시민들에게 막대한 피해와 불편을 주고 있다. 이번 화재는 단순한 사고가 아니라 항만 배후단지 관리·감독의 총체적 부실이 드러난 심각한 사태이다. (자료=광양환경운동연합)
이에 우리는 다음과 같이 강력히 촉구한다.
▲이번 광양항 배후단지 물류창고 화재 발생에 따른 모든 책임자를 엄중 처벌하라.
▲광양항 동·서측 배후단지 물류창고의 폐기물 보관 실태에 대해 전수조사를 즉각 실시하라.
▲소방 의존형 대응체계에서 벗어나 관계 기관이 함께 참여하는 종합적 화재·환경 관리 시스템을 재정비하라.
▲재발 방지를 위한 제도적 기반을 강화하고 장기간 적치된 폐기물 처리 및 관리 방안을 시급히 마련하라.
이번 화재는 단순히 물류창고에서 발생한 불이 아니라 무책임한 행정 관리와 부실한 감독체계가 만들어낸 “예견된 재난”이다. 우리는 다시는 이러한 환경·안전 불감증의 참사를 목도하지 않기 위해 끝까지 진상을 밝히고 책임 규명을 요구할 것이다.
끝으로 연일 지속되는 악조건 화재현장에서 소방대원의 안전이 최우선과 노고의 말씀 전합니다.
2025. 9. 16.
광양환경운동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