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경신문=윤성균 기자] 향후 5년간 인공지능(AI)·반도체·바이오 등 첨단전략 산업을 육성하는 ‘국민성장펀드’가 150조원 규모로 조성된다.
이재명 대통령이 10일 서울 마포구 프론트원에서 열린 국민성장펀드 보고대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금융위원회가 10일 서울 마포 프론트원에서 ‘국민성장펀드 국민보고대회’를 열고 이같이 밝혔다.
금융위는 첨단전략산업기금 75조원과 민간·금융권 자금 75조원으로 구성된 펀드 운용 전략을 공개했다.
AI, 반도체, 바이오, 수소, 이차전지, 미래차, 방산 등 첨단산업과 관련 생태계에 직접투자, 간접투자, 인프라 투융자, 초저리대출 등 다양한 방식으로 지원한다.
내년 정부예산안 1조원이 반영되는 재정은 후순위 참여 등을 통해 민간자금의 마중물 역할을 수행한다. 금융업권별(은행‧증권‧보험‧연기금 등)로 건전성 및 운용규제가 유연하게 적용될 수 있도록 합리적 개선노력을 병행할 예정이다.
정부는 이를 통해 최대 125조원의 부가가치 유발효과와 함께 지역성장 및 일자리 창출을 기대한다고 밝혔다. 특히 담보·보증 중심의 기존 금융에서 벗어나 생산적 금융으로의 대전환을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첨단전략산업기금은 9일 공포돼 12월 초 출범 예정이다. 관계부처 차관급 협의체를 통해 규제·세제·재정·금융·인력양성 등 통합패키지를 지원할 계획이다.
이날 보고대회에 참석한 이재명 대통령은 “첨단산업 육성을 위해서는 금융 분야가 지금처럼 담보를 잡고 돈을 빌려주고 이자를 받는 ‘전당포식 영업’이 아니라 생산적 금융으로의 대대적인 전환이 필요하다”며 “손쉬운 이자 수입에 의존하거나 부동산 투자에 자금이 쏠리지 않도록 모험투자, 혁신투자에 집중할 환경을 만들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