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경신문=윤성균 기자]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11일 기준금리를 3.50%로 동결한 뒤 “기준금리 추가 인상 필요성이 이전보다 낮아진 것으로 판단했다”고 밝혔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11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금리 결정 관련 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자료=연합뉴스)
이 총재는 이날 한은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물가 둔화 추세가 지속되고 국제유가, 중동 사태 등 해외 리스크가 완화됐다”며 기준금리 동결 배경을 설명했다.
그는 “지난달에는 금통위원 6명 중 4명이 향후 3개월 동안 금리를 3.75%까지 열어놔야 한다고 했고 나머지 2명이 3.50%로 유지하자고 했으나 이번에는 5명 모두 3.50%로 유지하자고 했다” 부연했다.
다만 이 총재는 기준금리 인하에 대해서는 “금통위원들은 현시점에서 금리 인하에 대해 논의하는 것 자체가 시기상조라 생각한다”며 “금리 인하가 경기를 부양하는 효과보다는 부동산 가격 상승 기대를 자극하는 부작용이 클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물가상승률이 목표 수준으로 수렴할 것이라는 확신이 들 때까지 통화 긴축 기조를 충분히 장기간 지속함으로써 물가 안정을 이뤄내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판단한다”며 “적어도 6개월 이상은 기준금리 인하가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총재는 태영건설 워크아웃 신청으로 불거진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우려와 관련해서는 “시장 안정이 불안한 상황은 아닌 만큼 한은이 나설 때는 아니라고 판단한다”고 선을 그었다.
이어 “태영건설 사태가 부동산이나 건설업의 큰 위기로 번져 시스템 위기가 될 가능성은 작다”며 “부동산 PF가 시장 불안정을 일으키면 한은이 언제든지 시장 안전판 역할을 하겠지만 지금은 그런 상황이 아니다”라고 선을 그었다.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비트코인 현물 상장지수펀드(ETF) 상장을 승인한 데 대해 “비트코인이 확실히 하나의 투자 자산으로 자리 잡았다고 생각했다”며 “변동 폭 등을 보면서 비트코인 ETF가 투자 자산으로서 어느 정도 가치 있고 안정성이 있는지 시험할 시기가 됐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