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경신문=윤성균 기자] 박성재 전 법무부 장관의 12·3 비상계엄 전후 행적을 둘러싼 의혹 제기가 이어지고 있다. 이에 내란 특검의 수사가 본격화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박성재 전 법무부 장관이 지난 1월 22일 국회에서 열린 ‘윤석열 정부의 비상계엄 선포를 통한 내란 혐의 진상규명 국정조사 특별위원회’ 1차 청문회에서 의원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15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조은석 내란 특별검사팀이 12·3 비상계엄 관련 박 전 법무부 장관에 대해 ‘내란 방조’ 혐의를 적용하는 방안을 유력하게 검토 중이다.

박 전 장관은 비상계엄 당일 윤석열 전 대통령이 최초로 불렀던 5명의 국무위원 중 한 명이다. 계엄 선포 국무회의와 해제 국무회의에 모두 참석했다.

특검팀은 박 전 장관이 위헌·위법한 계엄 선포를 충분히 저지하지 못했다고 봤다. 계엄 이후에도 합동수사본부 검사 파견 검토 지시, 출입국 담당자 출근 지시 등 적극 대응했다는 의혹을 수사 중이다.

박 전 장관이 계엄 해제 당일 안전가옥에서 김주현 전 민정수석, 이완규 전 법제처장 등과 회동한 사실도 확인됐다. 이 자리에서 2차 계엄 또는 계엄 수습 방안을 논의한 것이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된다.

특검팀은 박 전 장관이 불법 계엄에 소극적으로 대응하며 헌법적 책무를 유기했다고 보고 있다. 제기된 의혹에 대한 사실관계 확인을 마치는 대로 박 전 장관을 불러 혐의를 구체화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