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경신문=우용하 기자] 전국 시군구 중 연간 분만 건수 10건이 안되는 '출산 불모지'가 전체의 3분의 1을 차지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조사 결과 전국 시군구 중 97곳이 '출산 불모지'로 확인됐다.(사진=연합뉴스)
10일 연합뉴스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지난해 병원·의원, 종합병원, 상급종합병원, 조산원에서 이뤄진 분만은 23만7484건으로 집계됐다.
의료기관 소재지로 보면 251개 시군구 가운데 연간 분만 건수 10건 미만 곳은 97곳으로 38.6%에 달했다.
심평원은 지난 2019년 진료 청구 이력이 있는 의료기관 소재지별로 분만 데이터를 집계하고 있다. 이로 인해 전체 시군구 숫자에서 행정안전부 행정구역 현황과 차이가 존재한다.
분만이 10건 미만인 시군구 비율은 2022년과 2023년에도 각각 37.1%, 36.7%를 기록한 바 있다.
백 단위로 반올림된 통계청의 작년 출생 통계를 보면 출생아 수 50명 미만 지역은 영양군·울릉군 두 곳뿐이다. 이들 지역의 2023년 출생아 수는 각각 30명, 26명으로 같은 해 분만 건수보다 많다.
지역 내 의료기관 분만이 10건보다 적다고 해당 지역 주민으로 태어난 아이가 10명 미만인 것은 아니라는 의미로 풀이된다. 거주하는 지역에 산부인과가 없거나 다른 지역으로 이동해 분만하는 경우도 존재하기 때문이다.
윤석준 고려대 의대 교수는 "정부가 오랫동안 분만 취약지 지원 사업을 해왔지만 분만 건수가 적으면 정부 지원이 있어도 병원을 유지하기 어렵다"며 "응급 이송 체계를 더 활성화하고 병·의원 네트워크 강화를 통해 안전하게 분만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드는 것이 효율적일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