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경신문=변동휘 기자] SK텔레콤이 경찰청과의 협력을 통해 악성앱 피해를 막는 성과를 거뒀다.

SKT는 지난해 12월부터 올 3월까지 총 2610건의 악성앱을 발견해 차단 조치했다고 16일 밝혔다.

SKT가 경찰청과의 공조를 통해 악성앱 2610건을 차단했다.

SKT는 경찰청과 협조해 지난해 12월부터 올해 3월까지 총 2610건의 악성앱 설치 의심고객을 확인했다. 이후 경찰이 직접 피해자에게 출동해 즉시 삭제 조치를 하는 방식으로 약 1070억 원의 피해를 예방했다.

이번 악성앱 차단 협력은 크게 두가지 방향으로 진행됐다. SKT는 AI 모델 기반 분석을 통해 악성앱 유포 링크가 포함된 스미싱 문자를 차단하고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에서 제공받은 악성 도메인과 IP를 추적해 차단 조치를 시행했다.

이후 AI 모델 기반의 분석을 통해 악성앱 설치 가능성이 있는 고객군을 추출하고 데이터를 경찰청에 제공했다. 경찰은 현장 출동을 통해 악성앱이 설치된 피해자들을 일일이 찾아가 직접 삭제 조치했다.

SKT와 경찰청의 협력은 악성앱 설치로 피해가 우려되는 고객을 현장으로 직접 찾아가 2차적인 금융 사기 피해를 실질적으로 예방했다는 것에 의미가 매우 크다.

SKT는 최근 악성앱에 의한 개인정보 탈취 또는 금융사기 피해가 증가함에 따라 다양한 채널을 통해 고객들의 각별한 주의를 당부하고 있다.

경찰청에 따르면 악성앱 등을 통한 보이스피싱 피해 금액은 2023년 4472억원에서 지난해 8545억원으로 크게 증가했다.

SKT는 2024년 7월부터 서비스 이용 동의를 받은 고객들을 대상으로 ‘미끼 문자 AI탐지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작년 말까지 누적 약 9700건의 미끼 문자를 탐지하며 고객 피해를 예방한 바 있다.

경찰청 곽병일 마약조직범죄수사과장은 “최근 카드 배송 사칭 피싱 시나리오가 등장하는 등 보이스피싱 조직은 지속적으로 새로운 수법을 시도하고 있어 모르는 링크에 접속하거나 수상한 어플은 절대 설치하지 말아야 한다“고 밝혔다.

SKT 손영규 정보보호실장은 “SKT는 경찰청과 지속적으로 협력해 악성앱 설치로 인해 피해를 보는 고객이 지속적으로 줄어들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며 “앞으로도 민관이 협력해 각종 보이스피싱 등 피해 예방에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