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경신문=변동휘 기자] SK텔레콤이 ‘국가대표 AI’ 정예팀들과 머리를 맞댔다.

SKT의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프로젝트 정예팀은 ‘2025 파운데이션 모델 테크 워크숍’을 마쳤다고 19일 밝혔다.

‘2025 파운데이션 모델 테크 워크숍’ 참가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SKT)

워크숍은 크래프톤이 서울 성수동에 마련한 SKT 정예팀 전용 공간 ‘워룸’에서 진행됐다. 이곳은 SKT 컨소시엄 참여 기관이 서로 원활한 협업을 위해 마련한 오픈형 업무 공간이다. 엔지니어와 연구진이 상주하며 공동 개발, 성능 검증, 시제품 테스트 등을 수행할 수 있도록 첨단 디지털 장비와 협업 환경을 갖추고 있다.

이번 행사는 SKT 정예팀이 AI 연구자, 대학생 등 다양한 관계자들에 독자 파운데이션 모델 프로젝트 추진 방향을 소개하기 위해 마련됐다. 국내 AI 기술 발전을 위한 상호 의견을 교류하는 목적도 있다.

이날 참여한 SKT, 크래프톤, 포티투닷, 리벨리온, 라이너, 셀렉트스타, 서울대학교, KAIST 등 8개 기관은 파운데이션 모델 연구의 최신 기술과 응용 사례를 공유했다.

발표 세션에서는 ▲대규모 모델 학습(SKT) ▲파운데이션 모델 선행 연구(서울대·KAIST) ▲AI 반도체(리벨리온) ▲현업 응용 사례(크래프톤) 등 다양한 주제가 다뤄졌다.

김태윤 SKT 파운데이션 모델 담당은 ‘대한민국 AI 국가대표, SKT 컨소시엄이 만드는 독자 파운데이션 모델’을 주제로 발표를 진행했다. 국내에서는 이례적으로 500B(5000억개) 파라미터급 초대형 모델 개발에 도전하게 된 배경과 연구 방향을 공유했다.

김건희 서울대학교 교수와 이기민 KAIST 교수는 각각 멀티모달 학습 기반 오디오 생성과 대규모 언어모델을 확장한 액션 모델 연구 성과를 발표했다. 김홍석 리벨리온 최고 소프트웨어 아키텍트는 국산 AI 반도체 기반 추론 최적화 기술을 공유했다.

크래프톤에서는 제갈윤 매니저가 사내 AI 에이전트인 ‘KRIS’를 소개했다. 이어서 김현승 팀장이 이용자와 함께 게임을 플레이하며 실시간으로 대화하고 소통하는 새로운 개념의 CPC ‘PUBG 앨라이’를 소개했다. 두 세션은 AI 기술이 연구를 넘어 실제 게임 플레이 경험을 혁신하는 사례들로 주목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