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경신문=우용하 기자] 중국 단체관광객 무비자 시행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기간 이뤄진 한중 정상회담 이후 관광·카지노업계의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중국인 무비자 단체관광객들이 입국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9일 업계는 양국 관계에 훈풍이 불면서 중국인의 국내여행(인바운드)와 한국인의 중국여행(아웃바운드) 모두 탄력 받을 것으로 내다보는 중이다.
특히 인바운드는 지난 9월 29일부터 중국 단체관광객의 무비자 입국이 허용되면서 증가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됐다. 전담 여행사들은 중국 단체관광객 모객에는 중국 정부의 우호적인 분위기가 큰 영향을 미친다고 설명했다.
한 중국 단체관광 전담 여행사는 "지난달은 무비자 시행 초기여서 큰 변화는 없었지만 시진핑 주석이 다녀간 만큼 중국 내에서도 분위기가 달라질 수 있다"며 "중국 국영기업이나 기관의 인센티브 여행 같은 수천 명 단위를 모객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서울 도심 호텔들이나 공항 부근이나 제주도 카지노 호텔도 양국 관계가 개선되면 중국 고객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서울의 5성급 호텔 관계자는 "중국 단체관광객들이 숙박하는 경우는 드물지만 한한령이 풀리면 개별 관광객들이 늘어날 것 같다"며 "장기적으로 호텔의 주 고객인 사업차 한국을 찾는 고객들도 기대할 수 있다"고 밝혔다.
롯데관광개발 관계자는 "한중 인적 교류가 활발해지면 호텔 카지노 등의 고객이 늘어날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아웃바운드 역시 활기를 띄는 분위기다. 지난해 11월 중국이 한국 대상으로 무비자 정책을 시행하면서 중국여행이 늘어나는 추세를 보여서다.
하나투어의 해외 기획여행 지역별 비중은 지난해 1분기 6.7%에서 올해 1분기 10.7%로 올랐다. 3분기에도 18.8%를 기록하면서 작년 3분기보다 개선됐다.
모두투어의 올해 1∼3분기 중국 예약 건수는 작년 동기 대비 약 17% 늘었다.
모두투어 관계자는 "긍정적 외교 이슈에 따라 4분기 중국 여행 수요는 한층 늘 것으로 보인다"며 "수요 확대 흐름에 맞춰 자유여행부터 프리미엄 상품까지 강화해 시장 변화에 대응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중관계 훈풍에 관광뿐 아니라 K뷰티의 중국사업까지 개선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최근 한국 화장품은 미국을 중심으로 서구권에서 인기를 끌고 있다 보니 중국에서는 상대적으로 부진한 모습을 보여왔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에 따르면 3분기 화장품의 중국 수출액은 15억8000만달러로 지난해 동기보다 11.5% 줄었다. 수출국 순위는 미국에 1위를 내주며 2위로 밀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