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경신문=서재필 기자] 롯데와 쿠팡Inc 등 국내외 유통기업들은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CEO(최고경영자) 서밋에서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한 혁신 사례를 공유했다.

국내외 유통기업 대표들은 AI 기술로 복잡한 유통 단계를 줄이고 소비자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됐다고 입을 모았다.

김상현 롯데쇼핑 부회장(사진=대한상의)

로버트 포터 미국 쿠팡Inc 글로벌 대외협력 최고 책임자(CGAO)는 29일 경주 예술의전당에서 열린 APEC CEO 서밋 디지털 전환과 전자상거래 효율화 발표에서 "쿠팡은 미국의 기술 기업으로서 AI와 첨단 기술을 활용해 미국의 수출을 확대하고 기업 성장을 지원하며 미국이 AI 경쟁에서 세계를 선도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쿠팡은 APEC 지역에서 AI와 로봇, 스마트 물류, 클라우드 컴퓨팅 등 혁신 분야에 수십억 달러를 투자해 왔다"며 "이를 통해 미국을 비롯한 세계 수십만 중소기업이 쿠팡을 통해 상품을 판매하며 성장할 수 있게 지원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그는 쿠팡의 유통 혁신 사례를 소개했다. 지금껏 유통은 보통 7단계 구조로 진행돼왔으나 쿠팡은 이 같은 구식 모델을 폐기하고 AI 기술을 활용해 유통을 4단계로 통합했다는 것이다. 유통 단계가 줄면 배송 속도는 빨라지고 비용은 줄어든다.

포터 CGAO는 "경주에서 스마트폰으로 주문하면 다음 날 (오전) 7시 전에 제품을 받을 수 있다"며 "AI를 활용해 (물류) 전 과정에서 예측하고 분석해 즉각 대응한다"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쿠팡은 AI를 적극 활용해 한국 최대의 일자리를 창출했고 국제 무역을 촉진하는 한편 중소기업에 공정한 경쟁의 장을 마련했다"고 평가했다.

포터 CGAO는 "쿠팡은 앞으로도 APEC과 협력해 소비자의 복지를 증진하고 중소기업의 성장을 지원하는 등 포용적 성장을 이루겠다"고 덧붙였다.

김상현 롯데 유통군 총괄대표 부회장은 이날 발표에서 "디지털 전환은 기술이 아니라 고객 경험을 새롭게 설계하는 과정"이라고 강조했다.

롯데 유통군은 국내 1만2000여개 매장을 중심으로 AI 기반 상품품질 분석과 다국어 안내 키오스크, AI 소믈리에 등 디지털 설루션을 선보이고 있다.

김 부회장은 이와 관련해 "전자상거래의 급성장에도 불구하고 아시아 소매 매출의 70% 이상은 오프라인 매장에서 발생한다"며 "디지털 기술은 오프라인 매장을 대체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쇼핑 경험을 만들어가는 혁신의 도구"라고 설명했다.

이어 "오프라인 매장에서도 고객 맞춤형 광고가 가능해졌고 이는 협력 브랜드와 데이터 기반 공동 마케팅과 광고 수익 모델로 발전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김 부회장은 디지털 전환 과정에서 유통기업이 고려할 과제로 ▲ 개인정보 보호·보안 강화 ▲ 규제 완화·민관 협력 ▲ 지속 가능성 향상을 꼽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