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경신문=서재필 기자] 윤동한 콜마그룹 회장의 콜마홀딩스 이사 복귀가 불발됐다. 윤 부회장 견제를 위한 최소한의 이사회 진입도 실패로 돌아갔다.

콜마홀딩스는 29일 세종 산학연클러스터지원센터에서 임시주주총회를 열고 윤동한 콜마그룹 회장과 김치봉·김병묵 전 콜마비앤에이치 대표 3명을 사내이사로 선임하는 안건을 상정한 결과 부결됐다고 밝혔다.

(왼쪽부터) 윤상현 콜마홀딩스 부회장, 윤동한 한국콜마 회장(사진=콜마홀딩스)

당초 윤 회장은 자신과 딸인 윤여원 콜마비앤에이치 대표, 유정철 부사장, 김치봉·김병묵 전 대표 등 10명을 이사로 선임하는 안건을 제안했다. 하지만 윤여원 대표를 포함한 7명이 자진해서 사퇴했다.

윤 회장의 아들이자 콜마홀딩스 최대주주(31.75%)인 윤상현 부회장은 이번 안건이 최근 자회사 경영권 이슈와 연관된 가족 사안인 점을 고려해 의결권을 행사하지 않고 기권했다.

이와 관련해 콜마홀딩스 측은 “가족 관련 사안에서 직접적인 판단을 내리기보다 시장과 주주의 뜻을 존중하겠다는 취지”라고 설명했다.

상법상 주주총회 안건이 통과되기 위해서는 출석 주주의 과반수이자 전체 발행주식 총수의 4분의 1 이상이 찬성해야 한다.

하지만 이번 안건의 찬성률은 약 17%로 법정 기준(25%)에 미달했다. 표결에 참가한 전체 기관투자자들도 신규 이사 선임에 반대했다. 일반 소액주주 중 찬성 비율은 1% 미만이다.

콜마홀딩스 관계자는 “이번 주총 결과는 경영 쇄신과 투명한 지배구조 확립을 추진해온 회사의 방향성이 주주와 시장의 신뢰를 얻고 있음을 보여준다”며 “앞으로도 주주가치 중심의 경영 원칙을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로써 콜마그룹 오너가 갈등은 윤상현 콜마홀딩스 부회장의 승리가 굳어지는 모양새다. 당초 갈등은 윤 부회장이 콜마비앤에이치의 실적 부진 등을 이유로 이사회 개편을 추진하며 시작됐다.

콜마비앤에이치 이사회 개편은 지난달 임시주총에서 윤 부회장과 이승화 전 CJ제일제당 부사장이 사내이사로 선임되며 윤 부회장이 승기를 잡았다.

이달 초에는 콜마비앤에이치 경영체계를 기존 윤여원 대표 단독체제에서 이승화·윤상현·윤여원 3인 각자 대표 체제로 변경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