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경신문=임윤희 기자] SK증권이 SK하이닉스의 고대역폭메모리(HBM) 사업 전망과 관련해 경쟁 심화에 따라 점유율보다 수익성 극대화에 집중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한동희 SK증권 리서치센터 반도체 연구위원은 8일 SK하이닉스 뉴스룸 인터뷰에서 "경쟁사 시장 진입은 기정사실"이라며 "SK하이닉스의 추가 점유율 상승은 산술적으로 어렵다"고 전망했다.
이는 삼성전자의 엔비디아 공급망 진입과 마이크론의 HBM 공급물량 확대를 인정한 것으로 해석된다.
현재 HBM 시장 점유율 50% 이상을 보유한 SK하이닉스는 엔비디아 등 주요 빅테크에 대부분 물량을 공급하고 있다. 마이크론은 HBM3E 제품을 엔비디아에 일부 공급하며 삼성전자는 엔비디아 품질테스트를 진행 중이다.
한 위원은 "이런 과정은 과거부터 매번 거쳐온 1위 사업자의 숙명"이라며 "경쟁사 진입 시에도 출혈경쟁보다는 가격과 물량의 최적점에서 수익성을 지키는 것이 유리하다"고 말했다.
이어 "AI 사이클에서는 점유율보다 이익과 수익성 극대화가 더 중요하다"며 "SK하이닉스의 높은 양산성과 낮은 원가를 감안하면 차별적 수익성 포인트는 유지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HBM 공급과잉 우려에 대해서는 "6세대 HBM4부터 다이 패널티도 제약이 될 수 있어 공급과잉 우려는 과하다"며 "하반기 업황은 견조할 것이며 내년 AI 수요도 여전히 견조할 것"이라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