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경신문=변동휘 기자] 이동통신단말장치 유통구조 개선법(단통법) 폐지 시행이 하루 앞으로 다가왔다. 신제품 출시 시즌까지 겹쳐 대규모 가입자 유치전이 현실화 할 수 있다는 전망도 제기된다. 특히 최근 해킹 사고로 점유율 40%선이 무너진 SK텔레콤이 적극적인 반격에 나설지가 관건이다.

단통법 폐지가 다가오며 통신3사의 보조금 경쟁 조짐이 관측된다. (사진=연합뉴스)

21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등에 따르면 오는 22일부터 단통법이 폐지된다. 지난 2014년 도입 이후 약 11년 만이다.

주요 변경사항으로는 통신사 단말기 지원금 공시 의무 및 유통점 추가지원금 상한 폐지가 꼽힌다. 가입유형별 지원금과 요금제별 지원금에 대한 차별금지 규정도 사라진다. 이로써 페이백 등보다 다양한 형태의 지원금 영업 경쟁이 가능해진다.

특히 삼성전자의 폴더블폰 신제품 출시 시기도 맞물려 있다. 때문에 가입자 유치를 위한 통신3사의 마케팅 경쟁이 본격화될 것이란 예상에 힘이 실린다.

마케팅 경쟁의 열쇠는 SKT가 쥐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해킹 사고와 위약금 면제 등을 거치며 80만명 이상의 가입자들이 이탈했다는 점에서다. 과기정통부의 유·무선통신서비스 가입 현황 및 무선데이터 트래픽 통계에 따르면 지난 5월말 기준 SKT 휴대폰 가입자 수는 2249만9042명으로 전체 가입자의 39.3%였다. 사상 처음으로 40%선이 무너진 것이다.

이미 경쟁사들은 보조금을 높여 고객 유치에 나섰다. SKT 역시 시장 점유율을 회복하기 위해 고액의 지원금을 지급했다. 시장이 이미 과열 양상을 보이는 셈이다. 단통법 폐지가 통신3사 보조금 경쟁의 방아쇠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아진 상태다.

다만 비용 부담이 그만큼 커진다는 점은 마이너스 요소다. SKT가 해킹 사고를 수습하는 과정에서 이미 많은 지출이 발생했기 때문이다. 위약금 환급만 해도 1000억원 가까운 매출 감소 효과로 돌아온다. 여기에 5000억원을 들여 고객 감사 패키지를 제공 중이다. 개인정보보호위원회의 과징금 역시 재무적 부담을 가중시키는 요소다.

만약 SKT가 이러한 부담을 감수하고 공격적 마케팅에 나선다면 통신3사의 ‘출혈 경쟁’이 보다 길게 이어질 가능성도 있다. 7월 삼성전자 신제품 출시에 이어 9월에는 애플의 아이폰17 시리즈 공개도 예정돼 있기 때문이다.

한 업계 관계자는 “비용 부담이 그만큼 커지고 있다는 점이 발목을 잡긴 하겠지만 가입자 다수가 이탈하면서 SKT의 마케팅 유인이 커진 상태”라며 “단기적으로는 치열한 보조금 경쟁이 펼쳐질 것으로 예상되며 이러한 흐름이 얼마나 지속될 것인지는 SKT의 행보에 달린 셈”이라고 짚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