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경신문=임윤희 기자] 네이버가 국내 공인전자문서중계자 최초로 PC와 모바일 웹에서 전자문서를 열람할 수 있는 서비스를 선보였다.
네이버는 전자문서를 PC와 모바일 웹에서도 확인할 수 있도록 네이버 전자문서 서비스를 고도화해 사용자 접근성과 편의성을 높인다고 16일 밝혔다.
네이버는 전자문서를 PC와 모바일 웹에서도 확인할 수 있도록 네이버 전자문서 서비스를 고도화해 사용자 접근성과 편의성을 높인다. (사진=네이버)
지난 15일부터 기존 네이버앱에 더해 PC와 모바일 웹에서도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전자문서를 열람할 수 있다. 스마트폰, 노트북, 데스크탑, 태블릿PC 등 사용자가 선호하는 디바이스 환경에서 '네이버 전자문서 홈'에 접속해 문서를 확인할 수 있다.
반응형 웹 기술을 적용해 국민건강보험의 서식 350종을 PC 환경에도 최적화된 형태로 제공한다. TTS 기술을 적용해 전자문서 내용을 음성으로도 들을 수 있는 기능을 도입해 고령층과 시각장애인의 접근성을 높였다.
네이버는 2019년부터 국민건강보험공단, 국민연금공단, 국세청, 국방부 등 다양한 공공기관의 전자문서를 발송하고 있다. 종이 우편을 전자문서로 대체해 2024년까지 누적 약 4억9500만 장의 종이 절감 효과를 달성했다.
네이버 황보영 리더는 "다양한 환경에서 누구나 쉽고 편리하게 전자문서를 이용할 수 있도록 서비스 접근성을 높이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