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경신문=서재필 기자] 현 정부의 유통가 국정감사 주요 현안이 플랫폼·산업안전·유통규제 등으로 좁혀질 것으로 보인다. 기업별 증인으로 채택된 총수 및 대표들의 출석 일정은 아직 확정되지 않은 상태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이번 유통가 국정감사에 총 20여명의 기업 총수들이 불려 나온다. 14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중소벤처기업부 대상 국감을 시작으로, 같은 날 정무위, 30일 환노위·고용노동부·행안위 종합 감사 등 유통가 국감 일정이 이어진다.

(왼쪽부터)박대준 쿠팡 대표이사, 조만호 무신사 대표(사진=쿠팡, 연합뉴스)

올해 유통업계 국정감사는 플랫폼 업계 내 수수료 및 거래 공정성, 홈플러스 사태에 대한 MBK파트너스의 책임 소재, 근로자들의 산업안전 및 노동자 처우 개선 등이 도마 위에 오른다.

먼저 14일 열리는 산자위 국감에는 플랫폼 업체와 판매자 간의 수수료 공제 구조 등 거래 공정성에 대한 집중 점검이 이뤄진다.

여기에는 박대준 쿠팡 대표와 김기호 아성다이소 대표, 조만호 무신사 대표, 이주철 W컨셉 대표 등이 줄줄이 증인으로 불려 나올 예정이다. 산자위는 쿠팡을 상대로 정산방식과 수수료 공제 구조, 광고 등 전반적인 운영 실태를 점검할 예정이다. 무신사와 다이소에 대해선 각각 플랫폼과 판매자 간 거래 공정성, 납품업체에 대한 불공정 행위 여부를 확인한다.

업계에 따르면 박대준 쿠팡 대표이사와 김기호 아성다이소 대표는 출석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된다. 조만호 무신사 대표와 이주철 W컨셉 대표는 일정을 확인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다.

같은 날 정무위 국감에서는 배달앱 불공정 운영과 독점, 소상공인 비용 전가 문제 등이 주요 현안이 될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는 배달의민족 운영사 우아한형제들의 김범석 대표와 김범석 쿠팡Inc 의장, 김명규 쿠팡이츠서비스 대표 등이 증인으로 채택됐다. 김범석 쿠팡Inc 의장은 해외거주로 출석하지 못한다.

(왼쪽부터)김범석 쿠팡Inc 의장, 김병주 MBK파트너스 회장(사진=각 사)

정무위 공정위원회 국감에서는 홈플러스 사태에 대한 질의가 진행된다. 여기에는 김광일·조주연 홈플러스 공동 대표이사, 김병주 MBK파트너스 회장, 윤종하 MBK파트너스 부회장이 증인 목록에 올랐다. 김광일·조주연 홈플러스 공동 대표는 홈플러스 기업회생 현안을 알리기 위해 증인 출석 의지를 밝힌 것으로 전해진다. 다만 김병주 MBK파트너스 회장 출석은 확정되지 않았다.

근로자들의 산업안전 및 노동자 처우 개선과 관련된 질의는 15일 기후에너지환경노동위원회의 고용노동부 국감과 30일 고용노동부 종합국감에서 진행된다. 여기에는 도세호 SPC 대표(15일)와 한채양 이마트 대표(30일), 김기원 한국맥도날드 대표(30일)가 출석한다.

SPC는 지난 7월 SPC삼립 시화공장 기계 끼임 사망 사고와 관련해 개선 사항을, 맥도날드는 지난 6월 매장 직원의 직장내 괴롭힘 관련 질의가 오고 갈 것으로 보인다.

주요 현안 외에도 가맹사업법 불공정 행태와 더본코리아 지역축제 의혹 및 각종 법규 위반 사항에 대한 국감도 이뤄진다.

14일 정무위원회 국감에서는 교촌에프앤비 송종화 대표의 증인 출석이 확정됐다. 교촌에프앤비는 최근 순살치킨 중량 축소 논란, 가맹점 갑질 문제 등 논란이 있다.

30일 행안위 종합 국감 증인으로 채택된 백종원 더본코리아 대표는 사업 일정으로 국감 출석이 확정되지 않았다. 더본코리아 측은 “백종원 대표는 현재 중국, 미국 등 현지 업체들의 요청에 의한 사업적 미팅을 소화하기 위해 해외 방문을 진행 중”이라고 말했다.

재계 인사에 대한 출석을 최소화하자는 정부 기조에 따라 실무자 선에서 질의응답이 가능한 기업 총수들은 제외될 것으로 관측된다. 실제로 정의선 현대차 회장이 국감 증인에서 배제됐다. G마켓과 알리익스프레스 합작 법인 설립 과정에서의 국내 소비자 정보 보호 대책 관련해 정용진 신세계그룹 회장의 증인 채택 철회 가능성도 높아졌다.

증인 출석 여부가 명확하게 파악되지 않는 기업 관계자들은 “일정을 확인 및 조율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