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경신문=임윤희 기자] 숏폼 플랫폼이 창작자 보상 방식을 조회 수 중심에서 피드 노출 기반으로 바꾸며 소규모 창작자도 수익화 문턱을 넘을 수 있는 구조로 전환한다. AI 추천 홈피드의 폭발적 성장에 맞춰 콘텐츠 소비 변화를 수익 모델에 반영한 것이다.
네이버는 숏폼 플랫폼 '클립'에 창작자 편의성을 높이는 다양한 기능을 추가하고 콘텐츠 소비 변화에 맞춰 새로운 창작자 보상 모델을 도입한다. (사진=네이버)
네이버는 숏폼 플랫폼 '클립'에 창작자 편의성을 높이는 다양한 기능을 추가하고 콘텐츠 소비 변화에 맞춰 새로운 창작자 보상 모델을 도입한다고 17일 밝혔다. 지난 9월부터 일평균 이용자 1000만 명을 돌파하며 성장세가 가속화되고 있다.
클립은 지난 8월 정식 선보인 '광고 인센티브 프로그램'에 피드형 보상 모델을 추가한다. 피드형 보상 모델은 홈피드에 노출되는 숏폼 영상에 대해서도 수익화를 지원한다. 11월부터 시범 운영을 거쳐 내년 중 정식 도입된다.
클립은 창작자 지원 프로그램을 다각화하고 있다. 광고 인센티브 프로그램을 비롯해 브랜드 스폰서십 프로그램, 스마트스토어 제휴 어필리에이트 모델 '쇼핑 커넥트' 등을 운영 중이다.
정보 태그도 강화된다. 장소 태그는 지난해 대비 2배, 쇼핑 태그는 350% 증가했다. 이번 업데이트로 방송·영화 등 엔터테인먼트 태그를 추가하며, 향후 스포츠·경제 등으로 카테고리를 확대한다.
이용자가 직접 제품이나 서비스를 이용했다는 '인증' 마크도 추가된다. 네이버 주문·예약 내역, 네이버페이 구매 내역 등을 연동해 콘텐츠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개별 클립 프로필에 '장소기록'과 '쇼핑기록' 탭을 신설해 주제별 콘텐츠를 편리하게 모아볼 수 있도록 지원한다. 팔로우한 크리에이터의 새 콘텐츠를 확인할 수 있는 '구독판'을 신설하고, 창작자와 1:1 대화 기능도 추가된다.
김아영 네이버 콘텐츠 서비스 리더는 "이용자는 신뢰할 수 있는 콘텐츠를 탐색하며 관심 상품이나 장소와 바로 연결될 수 있고 창작자는 AI로 간편하게 콘텐츠 정보를 연결할 수 있게 됐다"며 "합당한 보상을 제공해 더 많은 좋은 콘텐츠가 쌓이도록 다양한 각도에서 창작자를 지원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