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경신문=윤성균 기자]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에서 국어 성적이 대학 정시모집 합격의 핵심 키가 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16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지난 13일 치러진 2026학년도 수능 국어 표준점수 최고점은 141~149점, 수학은 137~142점 수준에서 형성될 것으로 추정됐다.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이 치러지는 13일 오전 대전교육청 27지구 제8시험장인 동대전고등학교에서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표준점수는 원점수가 평균에서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다. 시험이 어려울수록 최고점이 상승한다. 올해는 ‘불국어’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국어 난이도가 높아 표준점수 최고점이 작년 139점에서 최대 10점 이상 오를 것으로 예상된다. 작년엔 수학이 140점으로 국어보다 1점 높았으나 올해는 역전됐다.
영어가 절대평가인 점을 감안하면 정시모집에서 국어가 당락을 가를 절대적 변수가 될 것으로 보인다.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는 “국어가 상당히 어렵게 출제되면서 결국 국어 만점자가 수학 만점자보다 대입에 훨씬 유리한 상황이 됐다”며 “특히 정시모집에선 국어 성적이 절대적인 영향력을 미칠 것”이라고 강조했다.
80% 가까운 응시생이 사회탐구에 몰린 ‘역대급 사탐런’ 현상으로 탐구영역도 주요 변수로 떠올랐다.
문제는 대부분의 대학은 정시모집에서 수험생의 탐구영역 점수를 볼 때 각자가 만든 변환표준점수 체계를 활용한다는 점이다. 뛰어난 인재를 선발하기 위해 응시생 특성과 채점 결과를 바탕으로 매년 다른 산식을 써서 저마다의 변환표준점수 적용 방식을 마련하고 있다.
이에 따라 수험생들은 지원 대학의 변환 방식을 잘 파악하고 유불리를 면밀히 따져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임 대표는 “극심한 사탐런 때문에 변환표준점수를 둘러싼 대학들의 보이지 않는 눈치싸움도 더 치열해졌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