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경신문=임윤희 기자] LG전자와 KT가 해킹을 원천 차단하는 '양자 인터넷' 기술 개발에 나선다. AI와 로봇 시대 통신 보안이 더욱 중요해지면서 두 회사가 초보안 통신망 구축에 본격 협력한다.
LG전자가 서울 서초구 KT우면연구센터에서 KT와 '양자 인터넷 R&D 기술 협력'을 위한 MOU를 체결했다. (왼쪽부터)LG전자 CTO부문 제영호 C&M표준연구원장과 KT 이종식 미래네트워크연구소장.(사진=LG전자)
LG전자는 서울 서초구 KT우면연구센터에서 제영호 C&M표준연구소장과 KT 이종식 미래네트워크연구소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양자 인터넷 공동 연구개발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29일 밝혔다.
두 회사는 양자 직접 통신(QDC) 기반 초보안 네트워크 구축을 공동 연구한다. 양자 중계기 및 네트워크 핵심기술 개발, 양자 네트워크 검증 및 실증환경 구축도 함께 추진한다.
양자 직접 통신은 큐빗 같은 양자 정보 단위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술이다. 중첩, 얽힘 등 양자 특성을 활용해 기존 통신 대비 획기적으로 높은 보안성을 제공한다. 불법 도청 시도 시 양자 상태가 붕괴돼 데이터 탈취를 원천 차단하는 게 핵심이다.
이 기술은 AI홈, 스마트팩토리, 자율주행차 등 미래 융복합 서비스에서 강력한 보안 능력을 발휘할 것으로 기대된다. 기계와 사람 간 통신이 필수인 미래 서비스에서 정보 유출 걱정 없이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게 된다.
KT는 유무선 양자 암호키 분배 기술 구현 역량과 실증 경험을 바탕으로 양자 인터넷 원천기술 개발과 시스템 실증을 담당한다.
두 회사는 지난해 6G 연구개발에 이어 양자 인터넷까지 협업을 확대했다. 국내 양자 기술 생태계 활성화와 민관학 협력 확대를 통해 양자 기술의 표준화와 산업화 기반을 강화할 계획이다.
이종식 KT 미래네트워크연구소장은 "LG전자와 협력으로 양자 인터넷 원천기술 확보와 실증 역량 강화를 기대한다"며 "양자 인터넷 구현을 통해 미래 네트워크에서 양자 기술 방향성을 제시하겠다"고 말했다.
제영호 LG전자 C&M표준연구소장은 "양자 인터넷 통신은 미래 통신산업의 기반이 될 핵심 기술"이라며 "기술 현실화에 다가서는 연구개발을 적극 추진하고 글로벌 시장에서 선도적 기술 경쟁력을 확보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