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경신문=임윤희 기자] AI 데이터센터 냉각 효율을 둘러싼 경쟁이 뜨거워진 가운데, LG전자가 액침냉각 기술을 앞세워 글로벌 시장 공략에 나섰다. SK엔무브, 미국 GRC와 손잡고 냉각 효율과 에너지 절감 모두 잡겠다는 전략이다.
LG전자는 27일 SK엔무브, 미국 GRC와 업무협약을 맺고 AI 데이터센터용 액침냉각 솔루션 사업을 확대하기로 했다. (사진=LG전자)
LG전자는 SK엔무브, 미국 GRC와 업무협약을 맺고 AI 데이터센터용 액침냉각 솔루션 사업을 확대하기로 했다고 28일 밝혔다. 세 회사는 냉각기술 검증, 신제품 개발, 글로벌 고객 네트워크를 활용한 사업 확장 등 공동 협업을 추진한다.
LG전자는 이번 협약을 통해 공조 기술과 SK엔무브의 특수 냉각 플루이드, GRC의 액침냉각 탱크 기술을 결합한다. 각 사 핵심 기술을 모은 통합 냉각솔루션으로 차별화된 시장 경쟁력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액침냉각은 서버를 전기가 통하지 않는 냉각용 액체에 직접 담가 열을 식히는 방식이다. 공기보다 열전도율이 높아 에너지 효율이 뛰어나며, 데이터센터의 전력효율지수(PUE)를 최저 수준으로 낮출 수 있다.
LG전자는 이 기술을 냉각 포트폴리오에 추가하면서 AI 데이터센터 시장의 최적 솔루션 공급자로 자리매김하겠다는 목표다. 이미 AI 데이터센터의 급성장을 겨냥해 냉각 제품 라인업을 지속 확장 중이다.
SK엔무브는 이번 협업을 통해 자사가 개발한 차세대 액침냉각 플루이드를 글로벌 시장에 확대 적용할 계획이다. 2022년 국내 최초로 관련 기술을 개발했다. GRC와의 공동개발을 통해 냉각 생태계 구축에 앞장서고 있다.
GRC는 액침냉각 분야의 글로벌 선도기업으로 2009년 업계 최초로 상용 솔루션을 내놓은 이후 주요 IT 기업들과 협력하고 있다.
이재성 LG전자 ES사업본부 부사장은 “AI 데이터센터의 냉각 효율과 에너지 절감을 극대화하기 위한 전략적 협업”이라며 “급성장하는 AI 데이터센터 시장에서 차별화된 냉각 해법으로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